31. 손가락질 당하는 일
그러다가 보름 앞두고 혜숙이 쓰러졌다.
혜숙의 갑작스런 상태는 나의 출소와 어머니 고희연과 더불어
삽시에 민주화 운동 진영으로 번져 나갔다.
주위 많은 분들에게 알려졌고 염려와 걱정을 넘어
충격적인 소식으로 전해졌다.
이제 나의 출소랄지 어머니 고희연이랄지보다는
암으로 쓰러진 혜숙의 생사여부가 주위 모든 분들에게 초미의 관심사였다.
하지만 혜숙은 입원해 있으면서도 자기 몸 상태는 아랑곳없다는 듯
오로지 어머니 고희연 준비에 몰두했단다.
친지 동료들에게 일일이 전화하고 당일 행사 진행 순서를 짜고
차질없도록 역할을 맡기고 풍물패를 수배하고 사진과 비디오 촬영을 부탁하고
하다못해 입구에서 안내하고 접수 보는 이들까지 일일이 챙기고 있더란다.
절친한 여고 동창 중 어떤이는 혜숙이가 미쳤는가보다고
지가 죽을지 살지도 모르고 시어머니 칠순 잔치만 생각하고 있다고 혀를 찼단다.
이런 와중에 칠순 잔치가 뭐냐고 지부터 살고 봐야 되지 않겠냐고 했단다.
하지만 혜숙은 막무가내였단다.
결혼 전이지만 시어머니 회갑도 그 후 시아버지 칠순도 못 해드리고 지나쳤는데
이번이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르는데 이번만은 그냥 지나칠 수 없다고
막무가내 우기더란다.
그래서 결국은 여고 동창들도 죽어 가는 혜숙이 마지막 소원 일지도
맺힌 한 일지도 모를 일이니 저 하고 싶은대로 하라고
들어 줘야 되지 않겠느냐면서 진행을 도왔단다.
한편 어머니께서는 여러 달 전 고희연 말이 오가기 시작할 때부터
크게 노여워하시면서 반대하셨다.
어머님은 오랜 세월 공무원 생활하시면서 지역 주민들에게
우리 나라에서 만연하는 부질없는 허례허식과 풍습을 삼가하도록
계몽하고 설득하러 다니셨다.
▲ 어머니 공무원 신분증 사진
▲ 화성군보건소에서 상근책임자로 근무하시던 어머니 (가운데)
분에 넘치고 분수에 맞지 않는 예식을 간소화하도록 교육하고 다니셨다.
그러니만큼 당신이 먼저 솔선수범하는 데 이미 익숙해져 있었다.
며느리가 쓰러져 병원에 입원한 뒤에는
더욱더 당신의 고희연을 중단하도록 요구하셨다.
출소하고 처음 뵈었을 때도 어머니는 나에게 무엇보다 먼저
이런 지경에 고희연이 다 뭐냐고 그만두라 하셨다.
아들은 감옥에 있고
며느리는 입원해 있고
딸과 사위는 외국에 나가 있는데
고희연이랍시고 잔치할 마음이 생기겠느냐고 하셨다.
부질없는 일일 뿐만 아니라
어머니 자신을 크게 욕보이는 일이라고 나무라셨다.
세상 사람들한테 손가락질 당하는 일이라고
크게 노여워하셨다.
▲ 경기도 화성군 동탄면 반송리 출장 중인 어머니
▲ 가정 방문 중인 어머니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와 혜숙은
어머니 고희연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중단하기에는 너무 늦기도 했거니와
주위 많은 분들의 의견도 있었다.
그 당시 정치 사회적 상황도 고려했다.
1987 년은 새해 벽두부터 심상치 않은 기운이 감돌았다.
전두환 대통령은 임기 만료가 되는 해로 자리를 물러 나야 했고
재야 민주화 운동 진영과 야당에서는
"대통령을 국민의 손으로"라는 슬로건을 내세워
직선제 개헌 논쟁에 불을 붙였다.
2 월에는 서울대생 박종철 군이
남영동 대공수사단에서 고문으로 숨진 사실이 폭로되고
국가 공권력의 정당성과 도덕성이 크게 실추되었다.
정치 사회적으로 혼란한 분위기가 기승을 더 해가자
전두환 대통령은 개헌 절대 불가를 천명하며
"4.13 호헌 조치"를 내세워 마지막 안간힘으로
정국을 제압하려는 듯 발버둥치는 형국이었다.
▲ 1987. 4월 13일자 경향신문.
1979년 10.26 박정희 시해사건으로 계엄령이 선포되었을 때처럼
1980년 5월 17일 광주민중항쟁을 앞두고 전국 계엄령으로 확대되었을 때처럼
정국은 일순간 차디찬 냉기에 휩싸였다.
1980 년 3 ~ 4 월 민주화의 봄 적에
견디다 못한 어둠의 세력이 마각을 드러내고
5.17 계엄 확대 조치를 무기로 총질하고 칼춤추며 판세를 뒤엎으려 난리치듯
도도한 광주 시민의 민주화 물결을 난도질하고 박살내듯
무언가 거대하게 휘몰아 쳐올 것같은 태풍 전야처럼
무거운 침묵이 흐르고 고요했다.
전두환의 4.13 호헌 조치가 선포된 바로 다음 날
4 월 14 일 내가 감옥에서 출소했다.
그리고 나흘 후에
어머니의 고희연이 예정되어 있었다.
민주화 운동 진영을 대표하던 민청련과 민통련 민가협 등 단체에서는
갑자기 얼어붙은 정국을 돌파해 내기 위해서라도
재야 민주화 운동 진영에 있는 분들이 모두 망라해서
자연스럽게 모일 수 있는 자리가 가뜩이나 필요한 터이니만큼
어머니의 고희연을 예정대로 진행하는 것이 좋겠다고 주장했다.
나와 혜숙은 주변 동료들의 도움을 받아 가며 어머니를 설득했다.
고희연은 이미 자연인 어머니 개인이나
우리 가족의 잔치를 넘어 선 행사라 했다.
우리 가족이 처해 있는 형편과 사정도
이미 우리 가족만의 걱정과 염려가 아니라고 했다.
그때까지 20 여 년 동안 이 땅의 민주화를 위해
나와 함께 노력해 온 모든 선후배 동지들의 뜻이라고 했다.
이 땅의 민주화를 앞당기기 위한 행사라고 했다.
그제서야 어머니께서는 더이상 말씀이 없으셨다.
당신의 뜻을 거두신 건지.....
말씀하셔봤자 내 고집 꺾을 수 없어 마지못해 포기하신 건지.....
그 후 무겁게 흐르는 침묵을 깨고
무섭도록 고요한 연못에 파문을 불러일으키는 조짐이 여기저기서 일어났다.
그동안 조용하게 살아 오고, 하고 싶은 말 아껴가며 내색없이 침묵해 온
살만한 이들이 여기저기서 일어났다.
대학 교수를 필두로 의사 약사 한의사...
변호사 공인회계사...
신부 목사 교사...
밀양 안동 마산 기장 동래...
여수 완산 남원 목포 광주서구...
유성 옥천 천안 제천 공주...
강릉 원주 춘천...
중산층으로, 소지역 단위로 모여서 의논하고 입장을 발표하고
목소리를 내고 함께 행동하고.....
마침내는 도도한 물결이 되고
거대한 파도가 되고
6 월 민주 대 항쟁이 되었다.
'▷ 사랑과 희망으로 > 1. 네 번째 석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6. 잠 못 이룬 첫날 밤 (0) | 2008.01.22 |
---|---|
27. 회 진 / 28. 저 환자 암이야 (0) | 2008.01.22 |
29. 예쁜 내 삼겹살 (0) | 2008.01.22 |
30. 남들은 다 하는 도리 (0) | 2008.01.22 |
32. 눈물의 칠순 잔치 (0) | 2008.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