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rive.google.com/file/d/1GSLIinp340KAR915iPVV3TH3z92myRzV/view

 

 ‘음악 영화’라고 해야 하나? 아무튼 클래식이든 대중음악이든, 개인이 주연이든 공동체가 주연이든 ‘음악 영화’는 대개의 경우 소외나 우울, 빈곤을 극복하고 마침내 행복을 찾는다는 스토리로 감동을 전한다. 기승전결의 구조가 명확해서 관객이 쉽게 공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악 또한 아름답고 결말은 주로 해피엔딩이기 때문에 잠시나마 관객들에게 정신적 순화를 선물한다. 영화 ‘피아니스트와의 마지막 인터뷰’는 이 범주에 충실하다. 영화의 원제는 ‘CODA’이다. 음악과 관련해서 ‘coda’는 긴 연주곡의 마지막에 연주되는 종결부이다. 이 영화에서 종결부가 의미하는 것은 어느 날 무대 연주에 대한 공포증에 시달리게 된 노년의 피아니스트가 어떻게 자신의 우울과 공포를 극복하고 예술가로서의 삶을 승화 시키는가이다.
영화는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열정’을 연주하는 피아니스트의 연륜이 깊은 손을 클로즈업한 화면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렇지만 열정이라는 의미가 무색하게 피아니스트를 비롯한 등장인물들은 열정적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정적이며 장면들은 유명 음악당이나 뉴욕의 센트럴파크, 남프랑스, 알프스 자락에 자리 잡은 스위스의 실바플라나와 같은 전원적 풍경들이다. 이 고전적이고 목가적인 풍광을 배경으로 하는 영화는 세계적인 명망을 지닌 거장 피아니스트의 예술가적인 기품과 닮아있다. 그렇지만 세월의 흐름을 초월하는 음악이나 억겁의 시간을 안고 묵묵히 그 자리를 지키고 있는 자연과는 달리 이 영화의 주인공인 헨리는 피해갈 수 없는 세월의 무게와 아내를 잃은 슬픔에서 헤어 나오지 못하고 있다. 정신적 병이 있었던 사랑하는 아내를 헌신적으로 보살폈지만 아내는 스스로 삶을 끝냈기에 그의 슬픔은 더욱 깊었다. 또한 세계적 명성을 얻고 있는 피아니스트이지만 완벽한 무대 연주에 대한 압박감과 두려움은 어느 날 갑자기 그를 연주에 대한 공포로 몰아넣는다. 심지어 연주를 하려는 피아노의 검은 건반들이 사라져버리는 악몽을 꾸기도 하고 그를 인터뷰하기 위해 모인 기자들 앞에서는 공황상태가 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 처한 그에게 그에 대한 글을 쓰기 위해 온 음악 평론가인 헬렌이 다가온다. 헬렌은 과거 피아니스를 꿈꾸었었지만 유명 콩쿠르에서 예선 탈락을 하고 난 이후 글을 쓰는 평론가가 되었다. 헬렌이 이 피아니스트에게 관심을 가지는 것은 헨리의 훌륭한 실력이기도 하지만 과거 헬렌이 참가한 마스터 클래스에서 피아니스트에게 중요한 것은 ‘느낌’이라고 말할 만큼 깊었던 예술에 대한 그의 내면적 성찰이었다. 그토록 고매한 정신과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피아노 연주 실력을 가졌던 그가 현재 처해있는 트라우마를 지켜보면서 헬렌은 어떻게든 그가 다시 훌륭한 연주자로 되돌아오도록 곁에 있어 준다. 

그러던 어느 날 헬렌은 헨리에게 자신이 콩쿠르에서 떨어지고 나서 머물렀던 자연에서 늘 변함없이 그 자리에 있었던 바위를 보고 낙심을 털어내고 마음의 자유를 회복했던 순간을 회상한다. 헬렌이 이때 언급한 비유는 니체의 ‘영원 회귀’이다. 그녀는 영원 회귀는 무한 순환이 아니라 오랫동안 이어온 이야기와 시간을 묵묵히 안고 그 자리를 지키는 바위처럼 고난과 기쁨이 반복하는 삶 그 자체를 받아들이는 것이 라고 헨리에게 설명한다. 그러면서 헬렌은 헨리에게 니체에게 영감을 준 스위스 호수와 산이 있는 한적한 산골 마을에서 당분간 휴식을 취할 것을 권한다. 헨리는 그녀가 권한대로 그곳에 머무르며 매일 긴 계곡물이 흐르고 멀리 눈 덮인 알프스 정상이 보이는 산길을 산책하며 혼자만의 시간을 보내게 된다. 
또한 그곳에는 자연만이 아니라 그의 침울함을 조용히 지켜보는 중년을 넘어선 호텔의 프론트맨이 있었다. 그는 자신이 존경하는 유명 피아니스트가 그 호텔에 묵게 된다는 것을 알고 그 일을 자원한 것이다. 어느 날 그는 “우리는 앞으로 무엇이 다가올지 절대 알 수 없다”고 말하면서 패색이 짙었던 헨리와 두던 체스 게임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게임의 상황을 뒤집는다. 이 순간의 유쾌함으로 인해 헨리는 그동안 잊고 지냈던 웃음과 유머를 되찾게 된다.

그렇게 지내던 어느 날 헨리는 매일 지나치던 커다란 바위를 보는 순간 헬렌처럼 지난 과거의 슬픔이나 강박증적인 연주의 공포에서 벗어나게 된다. 자연의 생명력 속에서 에피파니처럼 삶의 의미를 체득한 헨리는 숲속 벤치에 잠시 앉아, 함께 자전거를 탈 때 헨리가 바퀴에 걸려 넘어질까 봐 한쪽 바짓단을 양말 속에 넣어주었던 헬렌의 행동을 떠올리며 조용한 미소와 함께 스스로 바짓단을 양말 속에 집어넣는다.
이제 용기를 다시 되찾은 헨리는 넘어지더라도 다시 일어나서 페달을 밟으며 예술가의 삶을 이어갈 것이다. 이것이 베토벤의 피아노 소타다 열정으로 시작하고 서정적이고 잔잔한 스카를라티의 건반 소나타 23번으로 마무리하는 피아니스트의 나이든 손의 연주가 전하는 메시지이다. 열정과 고요, 격랑과 잔잔함이라는 악상의 차이는 있지만, 그의 연주는 오랫동안 풍상을 견뎌온 바위와 같이 수많은 이야기와 시간을 품고 있는 삶 자체이기 때문이다. 삶은 살아 있는 생명력이고 그것이 헬렌이 말하듯 “사랑하는 관객을 위해, 자신을 위해 연주“를 계속해야 하는 예술가로서의 존재 가치가 될 것이다.
어쩌면 세계적인 피아니스트가 주인공인 영화는 평범한 사람들의 삶과는 멀리 떨어진 이야기일도 모른다. 그렇지만 이 영화의 이야기의 공감력은 노년층뿐만 아니라 일반 사람들이 겪는 삶의 어려움에 던지는 위로에 있다. 행과 불행이 반복되는 삶에서 묵묵히 자기 길을 가고 견뎌내는 것만이 자기다운 삶을 지켜내는 것이라는 위로 말이다.

 

7세 천재 지휘자 Eaward Yudenich - 요한 스트라우스의 박쥐 서곡

 

지금으로부터 70년 전, 
우리가 원하지 않았던 마피아게임이 시작되었습니다.
게임은 이렇게 시작합니다.
"우리들 안에 빨갱이가 있다"
오늘날에 이 게임은 어떻게 우리사회 곳곳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국가보안법을 정면으로 다룬 심리스릴러 다큐멘터리 게임의 전환
더 많은 분들이 함께 했으면 하는 바람을 담아 영화를 무료 공개합니다.
많은 시청부탁드립니다.

 

 

이 영화는 누가복음 내용을 중점으로 성경을 이해하기 쉽게 재구성한 
성경적인 영화로써 미국의 기독교 단체에 의해 복음전파를 목적으로 제작 되었으며, 
1000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습니다. 

이 영화는 성경을 직접 읽기 힘든 분들에게 더할 나위 할 것 없이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을 통한 죄사함의 복음을 전달하기에 좋은 영화입니다.

처녀의 몸에서 성령으로 잉태되어 성육신하신 하나님의 독생자 예수 그리스도께서 
2천년 전 이 땅에 무슨 이유로 오셨으며 무엇을 위하여 고통당하시고 죽으시어 
다시 사셨는지를, 또한 우리가 왜 죄인이며 죽을수 밖에 없는 죄인인 우리들이 
하나님의 은혜로 인해 오직 예수 그리스도만을 통해 죄사함을 받고 
하나님의 택함을 받은 자녀로써 구원을 얻을 수 있게 되는지 
그 참된 의미를 알리는 것이 가장 중대하기에 예수님에 관한 수많은 영화 중에서 
이 영화가 가장 복음적이고 제대로 된 영화라고 생각됩니다.

나의 죄를 대속하시고 나를 구원하시러 십자가에 달려 죽으러 오셨던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 
성경책을 펴서 누가복음을 보시면서 감상하시면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시간나실 때 꼭 끝까지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Pokarekare Ana

Pōkarekare ana, ngā wai o Waiapu
Whiti atu koe hine, marino ana e.
E hine e, hoki mai ra
Ka mate ahau i te aroha e.

Tuhituhi taku reta, tuku atu taku rīngi
Kia kite tō iwi, raru raru ana e.
E hine e, hoki mai ra
Ka mate ahau i te aroha e.

E kore te aroha, e maroke i te rā
Mākūkū tonu i aku roimata e.
E hine e, hoki mai ra
Ka mate ahau i te aroha e.

Whati whati taku pene, kua pau aku pepa
Ko taku aroha, mau tonu ana e.
E hine e, hoki mai ra
Ka mate ahau i te aroha e

- 연가 -

비바람이 치던 바다 잔잔해져 오면
그대 오늘 오시려나 저 바다 건너서
 밤하늘에 반짝이는 별들도 아름답지만
사랑하는 그대 눈은 더욱 아름다워라
 
그대만을 기다리리
내 사랑 영원히 기다리리
그대만을 기다리리
내 사랑 영원히 기다리리

이 노래는 뉴질랜드 북섬 로토루아의 로토루아 호수에 살던 마오리족의 전설에서 유래되었다. 
호수섬 모코이아에 살던 휘스터족 소족장의 아들 트타네카이는 육지에 사는 
아리족 대족장의 딸 히네모아를 짝사랑하고 있었지만 1년에 한번 모든 사람들이 모이는 대축제 때 
멀리서 바라만 볼 뿐 신분격차로 인해 차마 고백을 하지 못한다. 
그러나 사실 히네모아 역시 트타네카이를 연모하고 있었으며 
이를 알게된 한 사람의 중재로 인해 결국 만나게 된다.

서로 사랑하게 된 두 사람은 둘이 결합할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하고 기회를 노렸으나, 
이미 눈치를 챈 아리족 사람들에게 감시를 받게 된다. 
어느 폭풍우 치는 날 히네모아는 더이상 가만히 있을 수 없다고 생각하고 
카누를 타고 호수섬 모코이아로 건너가기로 결심하나 아리족 사람들이 
만약을 위해 카누를 전부 육지로 올려 놓아서 카누를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히네모아는 이에 굴하지 않고 반드시 호수섬을 건너가기로 결심하고 폭풍우 치는 밤에 헤엄을 치게 된다. 
천신만고 끝에(일설에는 트타네카이의 전통 플롯 소리에 따라) 호수섬에 도착한 히네모아는 
트타네카이의 천막으로 들어가고 놀란 트타네카이와 히네모아는 첫날밤을 보내게 된다.

다음날 아침 휘스터족 사람들이 모두 모여 들었으나 트타네카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족장은 이런  일이 한번도 없었는데 무슨 큰일이 벌어진 모양이라고 
트타네카이 천막으로 사람을 보내 확인하게 한다. 
그 사람이 히네모아를 발견하고 달려오자 모두들 트타네카이 천막으로 가서 놀라면서 기뻐하며 
두 사람을 축하해 줬으며 두 사람은 행복한 여생을 보내게 된다.

1900년대 초반까지 트타네카이와 히네모아의 자손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그 지역에 살았다고 한다.
노래는 남자인 트타네카이가 부른 것이다.
한국전쟁에서 남한을 지원하기 위해 온 마오리족들에 의해 전파된 것이 한국어 가사로 번안되었다.














1960년대 제임스 브라운과 더불어 흑인 대중음악의 산 증인으로 칭송되는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는 
11살의 어린 나이에 흑인 팝소울 음악의 전설 모타운 레코드(Motown)사에 소속되어 음악활동을 시작, 
1970년대부터 셀프 프로듀싱(Self-producing)을 선언하고 앨범 제작 전 과정을 진두지휘하며 
'아티스트'의 천재라 일컷게 되는 팝 스타이다.  


천부적인 작곡 감각과 각종 키보드를 비롯, 앨범 녹음시 대부분의 악기를 혼자서 다 연주해 낼 정도의 
다재다능한 그는 도무지 시각 장애인이라고 믿을 수 없는 독창성을 자신에 음악에 담아 낸다. 
또한 마빈 게이(Marvin Gaye)와 함께 1970년대 미국 사회 내 흑인들의 비참한 삶과 애환을 표현한 
'게토 리얼리티'를 얘기한 음악인으로 기억되면서 흑인 인권 지도자 마틴 루터 킹 (Martin luther King)
목사의 생일을 국경일로 정하자는 운동을 이끌었던 사회 운동가이기도 하다. 


스티비 원더는 자신의 노래를 통해 지금껏 인종과 이념의 벽을 넘어선 
절대불변의 숭고한 가치인 '사랑의 전도사'임을 전 세계에 알려 왔다. 
그의 음악만큼이나 이런 그의 행적은 전 세계 음악인들로부터 존경의 대상으로 그를 기억하게 했다. 


No New Year's Day
to celebrate
No chocolate
covered candy hearts
to give away

No first of spring
No song to sing
In fact here's
just another ordinary day

No April rain
No flower bloom
No wedding Saturday
within the month of June

But what it is,
is something true
Made up of these three words
That I must say to you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I just called
to say how much I care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And I mean it
from the bottom of my heart

No summer's high
No warm July
No harvest moon
to light
one tender August night

No autumn breeze
No falling leaves
Not even time
for birds to fly
to southen skies

No Libra sun
No Halloween
No giving thanks
to all the Christmas joy
you bring

But what it is
though old so new
To fill your heart
like no three words
could ever do

* repeat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I just called
to say how much I care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And I mean it
from the bottom of my heart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I just called
to say how much I care

I just called
to say I love you
And I mean it
from the bottom of my heart

of my heart
of my heart
bayby you're my heart

축제 기분을 낼
새해가 온것도 아니고
나누어 줄
사탕 덮힌 발렌타인
쵸콜렛도 없어요..

새로운 봄도 아니고,
부를만한 노래도 없고
사실은 그저 여느때와 다름없는
평범한 날일 뿐이에요.

4월에 내리는 비도,
꽃도 피어나지 않아요.
6월달에 들어 있는
토요일엔 결혼식도 없네요.

하지만, 내가
당신에게 말하고자 하는
이 세마디로 이루어진
말은 진실이에요.

난 그저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내가 얼마나 당신을
아끼는지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난 그저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이건 내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온 진심이에요.

여름이 무르익은것도 아니고
따사로운 7월도 아니에요.
부드러운 8월의 밤을
비추어 줄
보름달도 없네요.

가을 산들바람도
떨어지는 낙엽도 없어요.
심지어는 새들이
남쪽 하늘로 날아갈
때도 아니에요.

천칭자리가 있는것도
즐거운 할로윈도 없네요.
당신이 가져다 준
크리스마스의 모든 기쁨에도
감사할 수 없네요.

구식이지만 신선한 말,
어느 것도
이 세 마디 말처럼
당신의 마음을
채워줄 수는 없어요.

*repaeat

난 그저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내가 얼마나 당신을
아끼는지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난 그저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이건 내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온 진심이에요.

난 그저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내가 얼마나 당신을
아끼는지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난 그저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하려고 전화했어요.
이건 내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온 진심이에요.

내 마음 깊은 곳,
내 마음 깊은 곳에서..
그대는 내 마음이에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