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적 현실주의자

 

성폭력 상담소에서 간부로 일하는 여의사 한 분이,

1995년 내가 민주당에 입당했을 때, 이렇게 말했습니다.

 

“솔직히 실망했습니다. 그냥 재야에 남아서 사회 속의 등불이 되어 주셨으면 했는데.”

 

한두 번 들은 이야기도 아니지만,

매번 그런 말을 들을 때마다 가습이 철렁철렁했습니다.

 

애정이 실려 있어 한편으로는 고맙기도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당신도 결국 출세를 위해서 발버둥치는 그런 존재에 지나지 않는군”

하는 실망감이 역력한데에다 이제부터는 관심을 거두겠다는 선언 같아서 당황하곤 했습니다.

 

아닌 게 아니라,

결국 나도 권력 의지에의 충동으로 코뚜레 낀 소가 되어 끌려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되물음으로부터 완전히는 자유롭지 못한 것이 솔직한 나의 내면 풍경입니다.

 

물론 처음 정계에 들어섰을 때 내 나름대로 명분과 뜻이 분명했고

또 단순한 권력욕의 유혹 따위에 지지 않을 의지가 시퍼렇게 살아 있었지만 말입니다.

지금도 나는 그 분의 애정어린 비판을 결코 잊지 않고 있습니다.

 

벤 킹슬러가 주연한 영화 “간디”를 보았습니다.

그 영화를 보는 동안 나는,

간디도 간디지만, 네루에게서 눈을 뗄 수가 없었습니다.

 

간디의 뒤에는,

인도의 국민에게는 네루가 있었던 것입니다.

 

위대한 영혼 간디가 인도 독립을 위해 비폭력 저항 운동을 벌이며

전국을 순회하고 죽음을 각오한 단식 투쟁을 벌일 때,

위대한 현실주의자 네루는 간디의 그 숭고한 이상을 현실화하기 위해 정치를 했던 것입니다.

 

간디에게는 간디의 길이,

네루에게는 네루의 길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해방 전후 상황과 비슷했던,

그러나 대처 방식은 크게 달랐던 프랑스의 역사가 생각납니다.

 

그들도 연합군의 도움으로 나치 점령에서 벗어났지만,

종전에 즈음하여, 드골 장군은 연합군이 파리에 입성하기 전에

모든 레지스탕스가 궐기하도록 하였습니다.

 

그것은 프랑스인 스스로

프랑스를 해방시켰다는 역사를 세우기 위함이었습니다.

 

덕분에 프랑스는 그러한 정당성과 자부심을 바탕으로 나치의 잔재를 청산할 수 있었고,

더 나은 미래를 기약할 수 있었습니다.

 

1995년, 민주당에 입당하던 그때,

나는 우리나라가 민주화로 인해 새로운 공간이 많이 늘어났다고 보았으며,

그 곳에서 “네루의 길”이,

도덕적 자부심에 기초한 “드골의 지혜”가 좀더 필요하다고 확신하였습니다.

 

이제 올바른 역사 인식 위에서

지혜와 결단의 정치 능력을 보일 때입니다.

 

그래서 김근태의 정치, 김근태의 비전이

지금까지의 정치의 구태와 어떻게 다른지 보아 달라고 주문해 봅니다.

 

새로운 내일을 여는 새로운 사고와 방법으로 정치를 변화시키고

나아가 우리 모두의 삶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믿으며,

그것을 실천할 용기와 신념으로 내가 서있기 때문입니다.

 

출처 : 1998년 김근태 의원 후원회 소식지 <푸른내일>호외 에서 발췌


“무릎 꿇고 살기보다 서서 죽기 원한다."


나는 1985년 지옥의 남영동을 나선 다음

이렇게 말하고 있었습니다.


“구치감으로 향하는 자동차 속에서 따스한 오후의 햇빛을 온몸에 받았다.

아, 이 햇빛 속으로, 이 낮익은 거리로 나는 돌아온 것이다.

죽음으로부터 회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어느날 헤아려 보니 스물대여섯 번 체포당했고,

십수년 동안 수배받아 피신해야 했으며,

5년 6개월 동안 형을 살았습니다.


죽음보다 더한 치욕을 맛보아야 했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비참한 일인지를 절감하기도 했습니다.


지금에 와서 그때 그 길을 돌이켜 보면

적어도 이 두 가지는 얻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나는 부끄럽지 않게 살았다는 것이고,

또 조금이나마 역사의 방향을 긍정적인 쪽으로 돌렸다는 것입니다.


1985년에 고문 사실을 폭로하였고,

그것이 빌미가 되어 재야와 야당이 연대하여 고문 등 용공 조작 대책위를 만들고,

그것이 부천서 성고문 사건의 대책위로,

다시 박종철 치사 사건의 대책위로 이어져서,

궁극적으로 뒤에 1987년의 6.10민주대항쟁을 이끈 “국민운동본부”결성에

조금이나마 기여했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사실 그것으로 나는 족합니다.

나는 민주화 운동을 한 것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요즘에 와서 민주화 운동의 성과를 폄하하는 이들이

더러 있다고는 하지만 말입니다.


그때 우리는 서로서로 어깨를 결고

심장을 나누어 가지며 나아갔습니다.

그리고 나는 충분한 보상을 받았습니다.


나라 안팎에서 과분한 평가를 받았고,

덕분에 국회의원에 당선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나의 오랜 친구 조영래, 후배 김병곤, 이범영,

지금 몹시 아픈 이을호를 비롯해서 이름 없이 역사의 책무에 충실했던,

소리없이 그들을 도왔던 이들에게 항상 미안한 심정을 갖고 있습니다.


역사의 보상은 그 분들의 것입니다.


출처 : 1998년 김근태 의원 후원회 소식지 <푸른내일>호외 에서 발췌

 

상록수

 

 

대학에 들어가서야 비로서 자유로운 사고를 할 수 있었습니다.

학과 공부도 열심히 하는 한편,

경제복지회라는 서클에도 가입해서 진지하게 연구하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박정희 정권의 독재 통치는 갈수록 도를 더해 갔습니다.

1967년에 나는 서울 상대 대의원회 회장이 되어,

결국 부정선거 규탄 시위를 주도하였습니다.

 

그 때 처음 알았습니다.

끌려가서 매맞는 것이 얼마나 사람을 두렵게 만드는지를,

그 일로 강제 징집을 당했고,

1970년에 제대하여 학교에 복학하였습니다.

 

 

조용히 공부하여 교수가 되고 싶은 마음이 없지는 않았으나,

사회 상황은 철권 통치의 막다른 길로 달려가고 있었습니다.

 

 

1971년 11월 13일 전태일이 죽었고,

1972년 10월 17일 대통령 박정희가 영구집권을 목적으로

초헌법적 비상 조치인 유신헌법을 발표하였습니다.

 

나는 모른체할 수가 없었고,

그 현장을 떠날 수가 없었습니다.

 

그리하여 1971년부터 어쩔 수 없이 피신 길에 올라야 했습니다.

그 뒤로 나는 나도 모르는 사이에 중앙정보부가 발표하는 많은 사건에 연루되었으며,

1980년 “서울의 봄”에 이르러서야 잠시 자유의 몸이 될 수 있었습니다.

 

 

그런 가운데에서도 여러 선생님의 도움으로 졸업을 할 수 있었습니다.

 

학장이시던 변형윤 선생님, 나중에 총리가 되신 교무과장 이현재 선생님,

그리고 학생과장 강명규 선생님 같은 분들이

곤경을 무릅쓰고 피신중이던 나를 졸업시켜 주셨습니다.

 

따지고 보면,

나의 대학 졸업은 친구와 스승의 합작품인 셈입니다.

 

 

자유를 위해 싸웠지만,

교수가 되리라는 꿈은 버리지 못하던 시절이었습니다.

 

 

출처: 김근태 의원 후원회 소식지 [푸른내일]호외에서 발췌


풋내기 자유인

 

고교시절 한일회담 반대 시위가 거세게 일었습니다.

경기고 전체가 들고 일어나서 가두 시위에 나서다시피 했습니다.

 

그런데 묘하게도, 나는 5·16 쿠테타로 인해 정년 단축이 되어

아버지가 퇴직하시고 가정 형편이 어려워지긴 했어도

박정희 권력을 지지하는 쪽이었습니다.

 

미국에서 돈을 빌어라도 오겠다는 윤보선보다는

“자립 경제”를 외치는 박정희의 경제개발 계획에 얼마쯤 동조했던 것입니다.

 

경기고등학교 때 열심히 공부하면서

가정 살림에 보탬이 되려고 2학년 때부터 입주 과외를 했고

학원사에서 6년 동안 장학금을 받았습니다.

 

아버지는 내가 의대나 법대를 가기를 원하셨습니다.

“적록 색약”이어서 의대는 포기했고

법대는 일거에 출세하기를 바라는 사람이나 가는 곳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다 버트란드 러셀의 책을 읽게 되었습니다.

경제가 참으로 중요하며 경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인류의 구원이 없다고 힘주어 말하는 그 책은

한창 경제 발전을 부르짖는 사회 분위기 속에서

뭔가 내게 호소해 오는 것이 있었습니다.

 

결국, 서울대학교 상대 경제학과를 간 것은

경제학 교수가 되어 국민을 계몽하고 싶다는 순진한 생각에서였던 것입니다.

 

생각해 보면 그 때 나는, 참, 풋내기 자유인이었습니다.

대학에 들어가서 박정희에 대한 생각이 바뀌는 데에는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습니다.

 

“…교정을 올라오면서 노랗고 빨갛고 한 꽃들이 새삼스럽게 아름답게 느꼈습니다.

잠시나마 동숭동에 있던 서울대 교정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애잔한 감정이 스며들기도하고, 또 짙은 상념에 잠기기도 합니다.

아름다운 나라와 사랑을 낭만적으로 꿈꾸던 시절이었습니다.

폭풍처럼 번졌던 데모 후의 휴교령으로 굳게 닫힌 교정을 바라보면서도

여유와 낭만을 잃지 않았던 것이 특히 기억에 남습니다.

경제학 교수를 희망하던 한 평범한 학생이

민주화 운동의 대열에 서서 서른 해를 살았고,

어느 순간 정치인이 되어 또 몇 해를 보냈습니다.

돌아보면 아쉬운 점도 많지만,

그래도 제가 진실과 일관성을 믿으며 살 수 있었던 것은

서울대 경제학과에 입학하고 나서부터가 아닌가 생각합니다.

미래는 좀더 나을 것이라는,

내가 미력한 힘이 될 수 있을 것이라는 희망을 한번도 잃지 않았다는 것이

아마도 저를 이 자리에 서게 한 것이라고 믿습니다. …

 

                                 2000년 5월 7일, 서울대 경제학과 강연중에서

 

출처: 김근태 의원 후원회 소식지 [푸른내일]호외에서 발췌

나를 키워준 그 강과 들

 

남한강

 

굳이 고향을 말하자면,

경기도가 온통 고향이라고,

특히 소년 시절을 보듬어 준 남한강 상류가

나의 고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교장 선생이시던 아버지의 잦은 전근 덕분에,

평택 청북초등학교와 진위초등학교를 다녔고,

양평군에서 원덕초등학교를 다니다

양수초등학교에서 졸업을 했습니다.

 

아마도 내가 겪은 첫 시련은

자주 전학을 다니면서

늘 새로 친구를 사귀어야 한다는

강박감이었지 싶습니다.

 

그래도 고향은 어린 소년에게

더없이 넉넉하고 너그러웠습니다.

 

남한강에서 동무들과 멱을 감고,

밤 하늘의 별을 보았습니다.

 

들판에서 세찬 바람을 향해 달렸고,

풀이 자라나는 소리를 들으며 켰습니다.

 

지금도 양평 너른 평야나 남한강가를 가게 되면

차를 세우고 한참을 서서

나를 키워 준 그 들과 풀과 강과 하늘을 바라봅니다.

 

새침하던 여학생 “연봉”이는 어디에서 무엇을 할까,

하는 그리움과 함께.

 

그러다 정말로 첫 시련을 만났습니다.

경기중학교에 떨어진 것입니다.

 

그 때 심정으로는 하늘이 무너지는 듯했습니다.

그 뒤 광신중학교에 입학하였는데

그 3년 동안이 내 평생에서 가장 열심히

모질게 공부하던 때였을 것입니다.

 

불 좀 끄고 잠을 자라는 부모님의 성화에 부대끼면서도

밤 늦게까지 공부하곤 했습니다.

 

돌이켜보면 그 시절에 겪은 좌절과 실패, 열등감이

결국은 나에게 불확실한 미래와 싸울 수 있는

용기를 주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완행 열차를 타고

또 한참을 걸어 통학하던 시절이었습니다.

 

출처: 김근태 의원 후원회 소식지 [푸른내일]호외에서 발췌


 

어머니 ~

 

원추리 꽃

어머니 마흔 셋에 나를 낳으셨습니다.

 

감옥에 갔을 때

꾸었던 꿈이 생각납니다.

 

꿈속에서 마늘 냄새 나는 어머니 치마 품에서

오래도록 잠을 잤습니다.

 

조금씩 잠에서 깨기 시작했을 때,

오랜만에 맛보는 그 따뜻한 꿈이 마냥 아쉬워

다시 잠을 청하려고 얼마나 애를 썻던지...

 

 

어머니는 열정적인 분이셨고,

아들 교육을 위해서라면 극성스러웠다고 할 수도 있습니다.

특히 막내 아들에 대한 사랑이 애틋하였습니다.

 

해마다 봄이면 남한강 가에서

원추리를 캐 와서 국을 끓여 주셨습니다.

 

형과 누나는 이내 물려서

싫은 눈치를 내비치는데도

막내인 나는 한달 내내

원추리국을 먹을 수 있어 좋아라 했습니다.

 

여름이면 들과 산에서 떼지어 피는

황금빛 원추리 꽃을 가장 좋아하는 것은

어쩌면 어랄 적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일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집안의 몰락으로 가슴앓이가 컸던 어머니는

급기야는 나의 수배와 투옥과 피신을

온 몸으로 감당하시느라

그 긴 세월 한시도 걱정과 긴장을

늦출 새가 없으셨던 모양입니다.

 

79년 박정희 씨가 죽었을 때

그 때서야 비로소 마음을 푸셨는지,

다음 해 1월에 북망산을 넘으셨습니다.

 

80년 겨울 잠시 동안 자유의 몸이 된 나는

깊은 눈물을 삼키며

어머니를 광나루에서 보내 드렸습니다.

 

 

어머니 치마에서 짙게 배어 나오던 마늘 냄새는

지금도 잊을 수가 없습니다.

 

나의 고향이 거기에 있습니다.

 

 

출처: 김근태 의원 후원회 소식지 [푸른내일]호외에서 발췌

 

 
사용자 삽입 이미지
학력

1947년 2월 14일 경기도 부천 출생
1959년 2월 경기도 양평 양수초등학교 졸업 
1962년 2월 서울 광신중학교 졸업
1965년 2월 경기고등학교 졸업
1965년 2월 서울대 상대 경제학과 입학 
1972년 2월 서울대 졸업

 


병력

1967년       육군 보병 입대 
1970년 8월 육군 병장 제대

주요경력

1971년 2월 서울대 내란음모 사건 수배 
1974년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수배
 
1983년 민주화운동청년연합(민청련) 초대, 2대의장

1985년~1988년 민청련사건으로 구속  
                                         1989년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전민련) 정책기획실장, 집행위원장   
                                         1990년~1992년 전민련 활동으로 구속 
                                         1992년 민주대개혁과 민주정부수립을 위한 국민회의
                                                   집행위원장
                                         1993년 민주항쟁기념국민위원회 공동집행위원장 
                                         1994년 통일시대민주주의 국민회의 공동대표
                                         1995년 민주당 입당, 민주당 부총재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부총재
                                         1995년 새정치국민회의 도봉(갑) 지구당 위원장
                                         1995년 사면복권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당선 
                                         1996년 한-이란 의원 친선협회 부회장
                                         1997년 새정치국민회의 대통령선거 수도권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
                                         1998년 새정치국민회의 전자정부구현 정책기획단 위원장
                                         1999년 아-태 민주지도자회의 이사
                                         1999년 국민정치연구회 지도위원 
                                         1999년 새정치국민회의 당 쇄신위원회 위원장
                                         1999년 한양대 행정대학원 겸임교수
                                         1999년 2000년 국제금융박람회 추진위원회 위원장 
                                         2000년 1월 새천년민주당 도봉(갑) 지구당 위원장
                                         2000년 1월 새천년민주당 지도위원
                                         2000년 3월 새천년민주당 16대 총선 서울 선거대책위원회
                                                        위원장 
                                         2000년 4월 제16대 국회의원 당선
                                         2000년 5월 우석대 겸임교수  
                                         2000년 8월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 당선 
                                         2000년 9월 연변대학교 석좌교수 
                                         2000년 10월 새천년민주당 공적자금 관리 및 금융구조개혁
                                                         특위 위원장
                                         2001년 한반도평화와 경제발전전략연구재단 이사장 (현)  
                                         2001년 새천년민주당 전자거래활성화를 위한 법령정비정책
                                                   기획단 위원장  
                                         2001년 새천년민주당 소득격차완화특별위원회 위원장
                                         2001년 11월 새천년민주당 상임고문
                                         2002년 6월 8.8 재보선 특별대책기구 위원장
                                         2002년 10월 새천년민주당 중앙선대위 상임위원
                                         2002년 11월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 위원
                                         2003년 6월 13일 새천년민주당 경제활성화대책특위 위원장
                                         2003년 9월 19일 국민참여 통합신당 원내대표
                                         2003년 10월 27일 열린 우리당 원내대표
                                         2004년 4월 15일 2004년 4월 15일 제17대 국회의원 당선 
                                         2004년 7월 1일 제43대 보건복지부 장관 취임 
                                         2006년 2월 18일 열린우리당 최고위원 당선  
                                         2006년 6월 10일 열린우리당 의장취임
                                         2007년 6월 12일 대선불출마 선언
                                         2007년 8월 대통합민주신당 창당발기인 및 중앙위원
                                         2008년 2월 통합민주당 상임고문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사용자 삽입 이미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