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인 함석헌 평전/[14장] 유신체제에 마지막 타격 날리다
2013/02/15 08:00 김삼웅
산모에게 네 속에 있는 애기가 나올 때가 되어서 그런데 이제 나와야지. 낳는 것 네 책임이야. 이런 진통을 겪어야 돼. 그렇게 해서 죽기를 각오하고 낳을 작정을 하면 고통을 넘어설 수가 있어요.
함석헌은 지금이 새 시대를 열기 위한 ‘진통기’로 보았다. 아무리 포악한 권력이라도 결코 민중의 항거를 언제까지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씨알들을 격려하였다. 그리고 맹자의 말을 인용한다.
하늘이 어떤 사람에게 큰 소임을 맡길 때(天將降大任於是人也)
우선 그 마음을 괴롭게 만들고(必先苦其心志)
이 말은 생명의 법칙이 그렇다는 거예요. 종교적으로 말하면 하나님이 그렇게 한단 이 말이에요.
함석헌은 자신의 고통을 비롯하여 국민의 고난을 새시대를 열기 위한 하늘의 시련으로 인식하면서 두려움 없이 독재정권과 싸웠다. 싸우고 싸우다보니 어둠은 더욱 짙어갔으나 국민을 배반한 권력은 반드시 망한다는 신념은 더욱 굳어졌다.
1979년 3ㆍ1절 60주년을 앞둔 함석헌의 감회가 각별했다. 18세 때 3ㆍ1운동에 참여한 이래 40여 년이 더 지난 세월이다. 해방된 나라는 두 쪽이 나고, 가족을 남겨두고 택한 남쪽에서는 백색독재에 이어 군사독재가 극성을 부리게 되었다. 그래서 스스로 부끄러움을 달랬다.
생각해 보라. 이렇게 죽은 민족이 어디 있나? 감각이 있고, 의분이 있고 결단이 있나?
금년이 3.1운동의 예순 돌이니, 한번 크게 뜻 있는 기념을 하여, 침체해 가는 정신을 가다듬고, 나날이 심해가는 사회부정의를 일소하여, 두 동강이 난 나라를 어서 빨리 하나로 묶고, 남북이 하나로 어우러져 회개와 용서의 눈물로 이 강산을 적시고 감사와 희망의 노래로 저 산천초목을 들뛰게 하며, 그리하여 세대의 모든 압박당하고 찌저진 민족으로 하여금 용기를 갖도록 하잔 생각을 어느 누가 아니했겠느냐?
함석헌은 이같은 심경에서 다시 행동에 나섰다. 1979년 3월 1일, 3ㆍ1운동 60주년인 이날 재야 민주인사들과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국민연합’(민민연합)을 결성했다. 김대중의 석방을 계기로 그동안 다소 미온적이던 ‘국민연합’을 확대 개편하여 ‘민민연합’으로 확대한 것이다. ‘민민연합’은 윤보선ㆍ함석헌ㆍ김대중을 공동의장으로 선출하면서 전권을 3인 의장단에 맡기고, 보다 광범한 활동과 조직기반을 위해 지방조직에 착수했다.
‘민민연합’은 3월 4일 <발족선언문>을 통해 유신체제 철폐와 민주정부 수립을 당면목표로 밝히고,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해 평화적으로 투쟁할 것을 천명했다. 5월 1일에는 3인 의장단 명의로 최근 사태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는데, 민주인사들에 대한 장기 연금과 구치소 내의 심각한 인권침해, 폭행사건과 인권유린 사태를 검찰에 고발하고, 카터 미국 대통령의 방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 함석헌은 이 <발족선언문>을 힘차게 낭독했다.
권력과 부조리의 구조를 비판하는 모임에서 그가 글을 읽는 횟수가 늘어가고 있는 것 같다. 요즘은 그러한 기회에 ‘낭독 전문가’가 되어 가고 있는 듯한 느낌마저 준다. 나이로 보아 비교적 젊은 것들이 읽지 못하는 일들을 그는 서슴치 않고 해낸다. 후배들이 선생님께 낭독을 부탁하면 속으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몰라도 거절하지 않으시고 태연하게 허락하신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젊음 앞에 부끄러워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늙은 젊은이, 물과 같은 부드러움과 불과 같은 의지와 어울리고 있는 늙은 젊은이, 바로 그가 멋쟁이 함석헌이다.
정부는 반체제 투쟁과정에서 시국선언문의 낭독자, 집필자, 서명자 순으로 체포한다. 그래서 민주화운동 단체들은 공동대표 체제를 갖추고, 서명자도 명망가들을 동원한다. 구속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 발표자는 명망가 중에서도 저명 인사를 택한다. 잡혀가는 순서이기 때문이다. 이런 연유로 선정된 함석헌은 각종 시국선언의 낭독을 한 번도 꺼리지 않았다. 해서 구속, 연행된 일이 수없이 많았다.
6월 23일에는 함석헌ㆍ윤보선 등 20여 명이 화신백화점 앞에서 카터 방한 반대 시위를 벌였다.
함석헌은 이번에도 연행되었다가 다음날 풀려났다. 박정권은 7월 31일 신민당 기관지 <민주전선>이 김영삼 총재의 대정부 질의 내용(개헌)을 게재한 것을 문제 삼아 문부식 주간을 긴급조치 9호 위반혐의로 구속하였다.
8월 9일에는 YH무역 여성노동자 170여 명이 신민당사에 진입하여 회사 정상화와 노동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면서 농성을 시작했다. 시국은 막다른 골목으로 치닫고 있었다. 박정희가 5ㆍ16쿠데타로 권력을 탈취한 지 18년 째였다. 함석헌은 거듭 ‘시대의 징조’를 느끼면서 반독재 투쟁의 발길을 멈추지 않았다.
주석
4> <씨알의 소리>, 1977년 7월호, 22쪽.
5> 앞의 책, 23쪽.
6> <씨알의 소리>, 1979년 3월호, <가시나무 가지의 외침>, 4쪽.
7> 한완상, <평화주의자 함석헌의 멋>, <씨알의 소리>, 1979년 7월호, 69쪽.
함석헌은 지금이 새 시대를 열기 위한 ‘진통기’로 보았다. 아무리 포악한 권력이라도 결코 민중의 항거를 언제까지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씨알들을 격려하였다. 그리고 맹자의 말을 인용한다.
하늘이 어떤 사람에게 큰 소임을 맡길 때(天將降大任於是人也)
우선 그 마음을 괴롭게 만들고(必先苦其心志)
이 말은 생명의 법칙이 그렇다는 거예요. 종교적으로 말하면 하나님이 그렇게 한단 이 말이에요.
함석헌은 자신의 고통을 비롯하여 국민의 고난을 새시대를 열기 위한 하늘의 시련으로 인식하면서 두려움 없이 독재정권과 싸웠다. 싸우고 싸우다보니 어둠은 더욱 짙어갔으나 국민을 배반한 권력은 반드시 망한다는 신념은 더욱 굳어졌다.
함석헌 선생과 김대중 전 대통령
생각해 보라. 이렇게 죽은 민족이 어디 있나? 감각이 있고, 의분이 있고 결단이 있나?
금년이 3.1운동의 예순 돌이니, 한번 크게 뜻 있는 기념을 하여, 침체해 가는 정신을 가다듬고, 나날이 심해가는 사회부정의를 일소하여, 두 동강이 난 나라를 어서 빨리 하나로 묶고, 남북이 하나로 어우러져 회개와 용서의 눈물로 이 강산을 적시고 감사와 희망의 노래로 저 산천초목을 들뛰게 하며, 그리하여 세대의 모든 압박당하고 찌저진 민족으로 하여금 용기를 갖도록 하잔 생각을 어느 누가 아니했겠느냐?
함석헌은 이같은 심경에서 다시 행동에 나섰다. 1979년 3월 1일, 3ㆍ1운동 60주년인 이날 재야 민주인사들과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국민연합’(민민연합)을 결성했다. 김대중의 석방을 계기로 그동안 다소 미온적이던 ‘국민연합’을 확대 개편하여 ‘민민연합’으로 확대한 것이다. ‘민민연합’은 윤보선ㆍ함석헌ㆍ김대중을 공동의장으로 선출하면서 전권을 3인 의장단에 맡기고, 보다 광범한 활동과 조직기반을 위해 지방조직에 착수했다.
‘민민연합’은 3월 4일 <발족선언문>을 통해 유신체제 철폐와 민주정부 수립을 당면목표로 밝히고,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해 평화적으로 투쟁할 것을 천명했다. 5월 1일에는 3인 의장단 명의로 최근 사태에 대한 성명을 발표했는데, 민주인사들에 대한 장기 연금과 구치소 내의 심각한 인권침해, 폭행사건과 인권유린 사태를 검찰에 고발하고, 카터 미국 대통령의 방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표시했다. 함석헌은 이 <발족선언문>을 힘차게 낭독했다.
권력과 부조리의 구조를 비판하는 모임에서 그가 글을 읽는 횟수가 늘어가고 있는 것 같다. 요즘은 그러한 기회에 ‘낭독 전문가’가 되어 가고 있는 듯한 느낌마저 준다. 나이로 보아 비교적 젊은 것들이 읽지 못하는 일들을 그는 서슴치 않고 해낸다. 후배들이 선생님께 낭독을 부탁하면 속으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몰라도 거절하지 않으시고 태연하게 허락하신다. 여기서 우리는 그의 젊음 앞에 부끄러워짐을 느끼지 않을 수 없다. 늙은 젊은이, 물과 같은 부드러움과 불과 같은 의지와 어울리고 있는 늙은 젊은이, 바로 그가 멋쟁이 함석헌이다.
정부는 반체제 투쟁과정에서 시국선언문의 낭독자, 집필자, 서명자 순으로 체포한다. 그래서 민주화운동 단체들은 공동대표 체제를 갖추고, 서명자도 명망가들을 동원한다. 구속을 피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 발표자는 명망가 중에서도 저명 인사를 택한다. 잡혀가는 순서이기 때문이다. 이런 연유로 선정된 함석헌은 각종 시국선언의 낭독을 한 번도 꺼리지 않았다. 해서 구속, 연행된 일이 수없이 많았다.
6월 23일에는 함석헌ㆍ윤보선 등 20여 명이 화신백화점 앞에서 카터 방한 반대 시위를 벌였다.
함석헌은 이번에도 연행되었다가 다음날 풀려났다. 박정권은 7월 31일 신민당 기관지 <민주전선>이 김영삼 총재의 대정부 질의 내용(개헌)을 게재한 것을 문제 삼아 문부식 주간을 긴급조치 9호 위반혐의로 구속하였다.
8월 9일에는 YH무역 여성노동자 170여 명이 신민당사에 진입하여 회사 정상화와 노동자 생존권 보장을 요구하면서 농성을 시작했다. 시국은 막다른 골목으로 치닫고 있었다. 박정희가 5ㆍ16쿠데타로 권력을 탈취한 지 18년 째였다. 함석헌은 거듭 ‘시대의 징조’를 느끼면서 반독재 투쟁의 발길을 멈추지 않았다.
주석
4> <씨알의 소리>, 1977년 7월호, 22쪽.
5> 앞의 책, 23쪽.
6> <씨알의 소리>, 1979년 3월호, <가시나무 가지의 외침>, 4쪽.
7> 한완상, <평화주의자 함석헌의 멋>, <씨알의 소리>, 1979년 7월호, 69쪽.
'▷ 참스승 함석헌 > 함석헌 평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4회] 해외여행 중 10. 26사태 소식, 급히 귀국 (0) | 2014.10.14 |
---|---|
[83회] 1979년 노벨평화상 후보에 추천돼 (0) | 2014.10.11 |
[81회] 고난의 시대에 의분을 느끼며 (0) | 2014.10.07 |
[80회] 간디의 길, 함석헌의 길 (0) | 2014.10.06 |
[79회] 존경하는 인물 마하트마 간디 (0) | 2014.1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