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인 함석헌 평전/[8장] 독재자의 심장을 겨눈 독화살 2

013/01/02 08:00 김삼웅

 

 

함석헌은 천안 씨알농장에서 농사꾼 생활을 한 지 1년 여 만인 1958년 8월호 <사상계>에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는 글을 썼다. 6ㆍ25전쟁 발발 8주년을 되돌아보면서 한국 사회를 진단해달라는 장준하의 주문이었다. 그래서 부제를 “6ㆍ25싸움이 주는 역사적 교훈”으로 달았다.

이 글은 <한국 기독교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로 기독교계에 일대 파문을 일으킨지 2년여 만에, <할 말이 있다>는 평론으로 한국사회에 충격을 준 지 1년 반 만에, 이번에는 기독교계의 울타리를 넘어 전사회적으로 그리고 이승만 정권에 타격을 준 명논설이었다. 대 정치발언이고 본격적인 첫 정치평론에 속한다. 이 글을 통해 함석헌은 민중 속으로 들어오고, 씨알의 대변인이 되고, 독재 권력으로부터 1급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리고 도합 여섯번째의 투옥이고, 남한에서는 첫번째 옥고가 되었다. 이승만 시대의 대표적 필화사건이고 <사상계>가 날개돋힌 듯이 팔리는 계기가 되었다. 그가 구어체 문장 즉 ‘함석헌 문체’로 쓴 첫 정치평론이다.

우리나라는 오래 전부터 한자(문)에 중독되면서 고유한 민족언어를 상실하게 되었다. 지배층ㆍ지식인들일수록 그런 경향이 심해졌다. 조선 중기에 허균과 김만중이 한글로 소설을 썼는가 하면, 후기에는 일군의 중인ㆍ서얼들이 패관체(稗官體) 문장을 쓰기 시작했다. 연암 박지원의 <열하일기>가 쓰인 것도 이 무렵이다.

그런데 호학군주로 불리는 정조가 ‘문체반정’(文體反正)을 통해 패관체를 쓰는 사람을 문책하고, 향후 문체가 불순한 자는 과거에 응시하지 못하도록 조처했다. 전통적인 한문체의 글쓰기만 허용됨으로써 이후에는 <열하일기>와 같은 책이 더 이상 나오지 못하고 말았다. 해방 뒤에는 일본식 문체와 영어식 문체까지 극성을 부리면서 우리 말, 우리 글의 문체는 설 땅을 찾지 못하였다. 함석헌이 <할 말이 있다>와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에서부터 본격적인 구어체 문장, 씨알의 언어를 되찾아 쓰게 되었다.

6ㆍ25 싸움은 아직 우리 목에 씌워져 있는 올가미요 목구멍에 걸려 있는 불덩이다. 어떤 불덩이도 삼켜져 목구멍을 내려가면 되건만 이것은 아직 목구멍에 걸려 있어 우리를 괴롭힌다. 그러므로 밥을 먹을 수 없고 숨을 쉴 수 없고 말을 할 수도 울 수도 없는 것이다. 어서 이것을 삼켜 내려야 한다. 혹은 이 올가미를 벗어버려야 한다. (주석 11)

6ㆍ25전쟁으로 인해 한국사회가 처한 질곡과 올가미를 비판한다.

우리가 일본으로부터 해방이 됐다 할 수 있으나, 참 해방은 조금도 된 것 없다. 도리어 전보다 더 참혹한 것은 전에 상전이 하나였던 대신 지금은 둘 셋이다. 일본시대에는 종살이라도 부모 형제가 한집에서 살 수 있고 동포가 서로 소통할 수는 있지 않았나? 지금 그것도 못해 부모처자가 남북으로 헤어져 헤매는 나라가 자유는 무슨 자유, 해방은 무슨 해방인가?

남한은 북한을 소련ㆍ중공의 꼭두각시라 하고, 북한은 남한을 미국의 꼭두각시라 하니 남이 볼 때 있는 것은 꼭두각시뿐이지 나라가 아니다. 우리는 나라 없는 백성이다. 6ㆍ25는 꼭두각시의 놀음이었다. 민중의 시대에 민중이 살았어야 할 터인데 민중이 죽었으니 남의 꼭두각시밖에 될 것이 없지 않는가?

이 부문이 이승만의 심기를 거슬리게 되고, 독재자의 비위를 맞추면서 살아가는 충견들의 충성심을 발로하게 만들었다. 이승만의 심기를 건드린 대목이 신랄하다.

그렇게 큰 전쟁이 일어났는데, 그날 아침까지 몰랐으니 정말 몰랐던가? 알고도 일부러 두었는가? 몰랐다면 성의없고 어리석고, 알았다면 국민을 팔아넘긴 악질이다. 그러고는 밤이 깊도록 서울을 절대로 아니 버린다고 열 번 스무 번 공포하고 슬쩍 도망을 쳤으니, 국민이 믿으려 해도 믿을 수 없었다. 저희들도 서로 살겠다고 도망을 한 것이지, 정부가 피란한 것은 아니었다. 문서 한 장, 도장 하나 아니 가지고 도망한 것이 무슨 정부요 관청인가? 그저 나도 너도 피란가서 다시 거기서 만났으니 또 사무라고 본 것 뿐이었다. 민중이 신용 아니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 (주석 12)

자유당 전성기에 이승만의 실정을 이만큼 정곡을 찔러 비판한 논객은 일찌기 없었다. 이 글이 처음이었다. 북한군은 6월 25일 새벽 4시, 10개 사단 병력으로 240여 대의 전차를 앞세우고 일제히 38선을 넘어 남침하였다. 이승만은 이날 오전 10시 30분 경에야 경회루에서 낚시를 즐기다가 보고를 받았다. 6시간 30분이 지난 뒤였다. 그리고 ‘서울 사수’의 거짓 방송을 녹음으로 틀어놓고 6월 27일 새벽 2시에 국회에 통보도 하지 않은 채 줄행랑을 쳤다. 함석헌이 이를 정면으로 비판한 것이다. 비판은 이어진다.

전쟁이 지나간 오후 서로 이겼노라 했다. 형제 싸움에 서로 이겼노라니 정말은 진 것 아닌가? 어찌 승전 축하를 할까? 슬피 울어도 부족할 일인데. 어느 군인도 어느 장교도 주는 훈장 자랑으로 달고 다녔지, “형제를 죽이고 훈장이 무슨 훈장이냐?” 하고 떼어 던진 것을 보지 못했다. 노자(老子)는 전쟁에 이기면 상례(喪禮)로 처한다 했건마는, 하기는 제2국민병 사건을 만들어 내고 졸병의 옷ㆍ밥을 깎아서 제 집 짓고 호사하는 군인들에게 바라는 것이 과한 일이다. 그러나 그것이 나라의 울타리일까? (주석 13)


주석
11> <생각하는 백성이라야 산다>, <사상계>, 1958년 8월호.
12> 앞과 같음.
13> 앞과 같음.


01.jpg
0.06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