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인 함석헌 평전/[7장] 해방, 소련군에 투옥 그리고 월남
2012/12/30 08:00 김삼웅
양복차림의 함석헌 선생(50년대)
장로회가 2분(二分)이 되고 감리회가 2분이 되고 한 교회당 안에서 두 파가 대립해 예배를 드리고 경관을 출동시키고 교회당 차압을 하고, 천주교는 우리는 그런 싸움 아니한다 할는지 모르나, 그것은 마치 국민의 불평을 식민지전으로 전가시켜 겨우 통일을 유지해 가는 제국주의 국가의 일과 마찬가지로 다른 교파는 다 열교(裂敎)라는 것을 밤낮 선전해서만 유지되어가는 통일이다. 개신파에서 개종해 온 것을 선전 광고하는 것은 그것이 교파심 아니고 무엇인가?
종파 싸움은 기독교 저희끼리의 싸움을 하는 것은 외적이 없어졌기 때문이다. 기독교는 근본으로 하면 일체 현세적인 것을 상대로 싸우잔 것인데 그 근본정신이 살아 있는 한 그 싸움은 그칠 날이 없다. 그런데 외적이 없다는 것은 타협한 이외에 다른 이유가 없을 것이다. 타협을 한 것은 속았기 때문이다. 교의 파쟁(派爭)이 일본시대에는 별로 없었다. 공산침략이 심할 때는 천주교와 개신파도 상당히 가까웠다. 그러나 그런 대적이 좀 멀어질 때 종파싸움은 맹렬히 일어났다. 그것이 무엇인가? 대적을 전연 밖에서만 보았고 안에 보지 못한 것이다. 속았다는 것은 그것이다.
함석헌은 당시에 급속히 늘어나는 교회당의 문제에 대해 따끔하게 일침을 놓는다. 한국기독교는 이승만ㆍ김영삼ㆍ이명박 장로 3인을 대통령으로 ‘배출’했다.
최근에 와서 오는 현상으로 교회당이 날마다 늘어가는 것이다. 이것은 무슨 현상일까? 먼저 교회당은 무엇으로 그처럼 늘어갈까? 여러 말할 것 없이 돈이 있기 때문이다. 교회당이 그렇게 많이 일어나도 이때껏 어디서 하룻밤 사이에 하나님이 하늘에서 내려 보냈다는 것은 못들었고 인간이 지은 것들인데 인간이 지었다면 어디서 났거나 돈 있어서 된 것이지 건축자가 그저 지어 준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면 해방 후 날로 더 잘못되어가는 경제에 교회에는 어떻게 그런 돈이 있을까?
교회 경영을 생각해보면 그것이 무슨 힘으로 되나? 소위 장로급이 중심이 되어 가는 것 아닌가? 장로란 결코 신앙의 계급이 아니다. 돈의 계급이지. 돈 있는 사람, 교회경영을 말할 수 있는 사람을 장로로 되도록 하는 것이오. 지금 교파쟁이 대부분 그 장로급을 중심으로 하고 하는 일 아닌가? 그럼 그것이 하나님의 교회인가? 맘몬의 교회인가? 기독교인은 속죄를 받은 결과 이런 것도 죄로 아니 느끼리만큼 강철 심장이 되는가?
함석헌은 이 논설의 말미를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교회의 증상은 고혈압이라 진단할 수밖에 없다. 뚱뚱하고 혈색도 좋고 손발이 뜨끈뜨끈한 듯하나 그것이 정말 건강일까? 일찍이 노쇠하는 경향 아닌가? 그러기에 이렇게 혼란해 가는 사회를 보고도 아무 용기를 내지 못한다. (…) 고치 속에 있는 번데기가 죽지 않았다가 변화하려면 산 공기와 일광 속에 있어야만 하는 것같이 중압하는 교회당의 무게 밑에서도 생명의 씨가 살려면 역사적 대세의 분위기를 마셔야 할 것이다.
<사상계> 주간 안병욱의 회상이다.
<한국기독교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라는 글은 그야말로 낙양의 지가를 올린 글이다. 이 글 때문에 <사상계>가 일약 수천 부가 증가했다. 저마다 다투어서 사 읽었고, 모두 깊은 감명을 받았다. 읽은 뒤에 소감도 여러가지였다.
이 글은 한국기독교에 대한 가차없는 비판과 신랄한 경고요, 또 선생님 자신의 기독교관을 적은 것이다. 무교회주의자인 함 선생은 이 글에서 프로테스탄트도 공격했고 가톨릭도 내리쳤다. 기독교인들은 분개했고, 비 기독교인들은 쾌재를 외쳤다. (주석 24)
장준하는 이 글이 발표된 뒤 안병욱과 함께 신촌 전셋집으로 함석헌을 찾아가 처음으로 만났다.
그때 대현동에서 내가 만난 함 선생님은 ‘퍽 수줍어하는 잘생긴 노인’이라는 인상이다. 그렇게 겸허한 노인이 그렇게 격렬하고 날카롭고 무서운 글을 쓰시나 하는 놀라움을 곁들게 하였다. 별로 말씀은 아니 하시고 곁에서 안병욱 형이 이것저것 묻는 말에도, “글쎄, 그럴까, 하기는” 등 비교적 모호한 말 한 두 마디씩을 남기실 뿐이었다. 내가 <사상계>의 발간 취지를 대강 말씀드리고 나서, 앞으로는 <사상계>를 선생님이 직접 하시는 잡지라고 생각하시고 계속하여 글을 써 주십사 하고 부탁하였다. 그러나 선생님은 미소를 머금고 “글쎄요”라는 말씀만 남기실 뿐이었다. (주석 25)
함석헌의 기독교 비판은 지지와 성원만이 있었던 것이 아니다. 반대와 폄훼도 적지 않았다. 대표적인 것은 천주교 명동성당 신부 윤형중이었다. 그는 <신세계> 9월호에 함석헌이 “일부 기독교도의 비행이나 경거망동을 기독교 전체에 뒤집어씌우면서 침소봉대한다고 격렬하게 반박했다. 두 사람은 얼마 뒤 본격적인 논쟁을 벌인다.
주석
24> 안병욱, <옆에서 지켜본 사상계 12년>, <사상계>, 1965년 4월호, 265쪽.
25> 장준하, 앞의 글, 129쪽.
'▷ 참스승 함석헌 > 함석헌 평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37회] 천안에서 ‘서울농장’ 경영 (0) | 2014.07.29 |
---|---|
[36회] ‘낙양의 지가’ 올린 <할 말이 있다> (0) | 2014.07.26 |
[34회] 첫 대사회발언, <기독교는 무엇하고 있는가> (0) | 2014.07.23 |
[33회] 부산 피난, 동족상쟁 의미 짚어 (0) | 2014.07.22 |
[32회] 다시 수감위기… 38선 넘어 (0) | 2014.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