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평전/[16장] 노무현정부의 국무위원으로 국정 참여

2012/10/22 08:00 김삼웅

 

2004년 4월 17일 저녁 광화문 촛불행사에 참가한 시민들이 '탄핵무효' 카드를 들어올리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은 오마이뉴스 남소연 기자.

 

제17대 총선의 정치사적 환경은, 두 번째로 정권을 잃은 한나라당이 반노무현의 감정에 빠진 민주당 일각과 야합하여 대통령 탄핵 감행 중에 치른 선거였다는 사실이다. ‘탄핵정국’은 곧 이어진 ‘촛불집회’와 맞물렸다. 국민은 민주평화의 기치를 든 신생정당 우리당을 저지하는 ‘이변’을 보였다. 국민은 우리당에 152석을 안겨주었다. ‘노무현 지지’의 의미가 담겼다.
민주개혁세력이 행정권과 입법권을 장악한 것은 헌정사상 이번이 처음이다.
4월혁명 뒤 민주당은 7ㆍ29선거를 통해 민ㆍ참 양원에서 압도적 다수당이 되었으나 곧 신민당의 분당사태로 ‘소수여당’이 되고, 김대중의 ‘국민의 정부’는 거대한 다수 야당에 휘둘러서 개혁입법을 제대로 추진하지 못하였다. 심지어 김종필 국무총리와 한승헌 감사원장은 야당의 반대로 1년여 ‘서리’의 자격으로 국정을 맡아야 했다.

노무현의 참여정부도 다르지 않았다. 국회를 장악한 한나라당은 수구세력을 대변하는 조ㆍ중ㆍ동과 손잡고, 사사건건 노무현 대통령을 흔들고 마침내 탄핵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것이 부메랑이 되어 총선에서 우리당에 다수당을 내주게 되고, 여기에 진보정당인 민노당이 10석을 얻어 진보개혁세력이 국회 다수석을 차지하게 되었다. 그야말로 헌정사상 초유의 일이다.

 


2004년 4월 16일 창원을에서 당선된 권영길 민주노동당 대표와 비례대표 당선자들이 16일 오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과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에게 3당 대표회담을 열어, 대통령 탄핵과 이라크 파병문제를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사진은 오마이뉴스 이종호 기자.

 

그러나 다수당이 된 우리당은 개혁입법 추진과 악법폐기 등 시대적 소임을 다하지 못하였다. 정체성이 문제가 많은 인물들이 탄핵의 바람을 타고 공천=당선되고, 지도부의 리더십 부재의 요인도 지적되었다. 다음은 여론조사 전문가의 진단이다.

2004년 4월 9일 치러진 17대 총선에서 당시 집권 여당이었던 열린우리당이 반(反) 탄핵 바람을 타고 대승을 거둔다. 여당이 마치 새로운 시대가 열린 것 마냥 축제 분위기에 들떠 있을 때, 나는 총선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몇 가지 석연치 않은 점에 대해 골똘히 생각하고 있었다. 내가 몸담고 있던 한국사회여론연구소는 총선 전반 판세를 여론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있었는데, 그때 몇 가지 특이한 점들이 발견된다.

사실 그것은 ‘열린우리당의 암울한 미래’와 관련된 것이었다. 당시 여러 언론은 152석의 과반 여당 탄생의 의미를 분석하고 있었지만, 선거의 중간 흐름에 대해서는 큰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나 2004년 총선의 흐름에서는 탄핵 주체인 민주당과 한나라당의 패배라는 의미 외에 분명 또 다른 현상이 자리잡고 있었다.

즉 17대 총선 기간 중 이미 선거기간 전부터 잡탕 정당이라고 비난 받던 열린 우리당의 지지도가 내려가는 대신, 민노당 후보에 대한 지지도가 소리없이 올라가고 있었다.
(주석 4)

우리당은 17대 총선에서 원내 1당이 되었으나 ‘잡탕정당’의 구성원으로 하여 제 기능과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했다. 3선 의원이 된 김근태의 고민은 날로 깊어갔다. 그는 노무현 정부가 성공해야 민주주의가 정착되고, 서민대중의 생계가 보장되고, 남북관계가 화해협력의 관계를 더욱 진척시킬 수 있다고 굳게 믿었다. 그래서 당내 개혁과 민주화에 열정을 쏟았다.

 


 


우리당의 역사적, 현실적 책무가 무거워질수록 김근태의 마음도 무거워졌다. 국민이 152석의 국회의원을 준 것은 개혁을 하라는 지엄한 뜻이었는데, 과연 이것을 수행할 수 있을 지 걱정을 한 것이다.

김근태는 부드러움과 강건함을 고루 지닌 품성을 갖고 있었다. 그래서 한 쪽에서는 운동권 치고는 유약하다는, 다른 쪽에서는 지나치게 강경하다는 평을 동시에 듣기도 한다. 여당의 중진이 된 처지에서도 그의 진면을 제대로 드러내기는 쉽지 않았다. 이에 대한 언론인의 ‘심리분석’은 세월이 지나도 크게 달라지지 않은 것 같았다.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는 고집스러움이 있으면서도 상대를 인정할 줄 아는 그의 유연한 태도는 운동에서 겪게 되는 어려운 시기마다 그 진가를 발휘해왔다. 보스로서의 지도력이나 포용력은 감히 있다고 생각지도 않고 오히려 “소(小)소유자”가 되려는 소시민적 경향까지 있다고 자신을 평가하는 김근태가 내세울 수 있는 운동가적 자질은 아버지에게서 물려 받은 따뜻한 가슴과 어머니의 핏줄에서 나온 고집스러움과 일에 대한 추진력이라고 한다. 이에 사태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그 특유의 방법론이 곁들여져서 그는 어느덧 지도자의 이름까지 얻게 되었다.

실제로 그의 이러한 특징들은 얼굴에서도 나타난다. 부드러워 보이는 얼굴의 선과 조용한 미소는 따뜻한 가슴을 엿보이게 하나, 고집스러워 보이는 곱슬머리와 차분한 말투에서 그의 단정한 일 매무새를 짐작할 수 있다.

짐작해보건대 무언가를 추진해 나가고 조직하는 그의 능력은 어머니의 핏줄을 이어받은 덕이기도 하겠지만 그의 어린 시절의 환경과도 무관하지는 않을 성 싶다.
(주석 5)


주석
4> 김현태, <대중여론으로 읽는 한국정치-분노한 대중의 사회>, 11쪽, 후마니타스, 2009.
5> 한경심, <김근태>, <여성동아>, 1988년 8월호, 124쪽.

 

 


03.jpg
0.05MB
02.jpg
0.07MB
01.jpg
0.07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