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평전/[16장] 노무현정부의 국무위원으로 국정 참여

2012/10/19 08:00 김삼웅

 

 

'당선자 확실' 보도 이후 지지자들의 환호 속에 민주당사에 들어서는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와 부인 권양숙씨.

 

당내 대선 후보 경선에서 사퇴한 김근태는 노무현의 대통령 당선을 위해 최선을 다하였다. 노무현과는 심정적으로, 정치적으로 의기투합하는 관계로 그를 적극 도왔다. 하지만 노 후보나 민주당의 사정은 여간 좋지가 않았다.

2002년 6월 13일 실시된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참패한 것이다.
광역 단체장 16명, 기초단체장 232명, 광역의원 682명(비례대표 73명), 기초의원 3,485명을 뽑는 선거에서 호남과 제주를 제외한 전지역에서 패배했다. 한나라당은 충남(자민련)을 제외한 11곳을 휩쓸었다. 기초 단체장 선거에서는 한나라당이 서울을 비롯, 수도권과 강원도에서 69개 지역을 석권한 반면 민주당은 11개 지역의 당선에 그쳤다. 광역의원선거 결과는 더욱 참담했다. 수도권과 강원에서 235석을 차지한 한나라당이 압도적인 과반의석으로 이들 4개 광역의회를 장악한 반면 민주당은 겨우 34석에 그쳐 군소정당으로 전락하게 되었다.

민주당의 참패에는 정치적 배경이 있었다.
2001년부터 터지기 시작한 ‘진승현게이트’와 ‘이용호게이트’에 김대중 대통령의 아들들이 연루되었다는 설이 보도되고, 이에 대한 검찰 수사가 진행되었다. 김대중은 대국민 사과 성명에 이어 5월 6일에는 민주당을 탈당하기에 이르렀다. 노태우ㆍ김영삼에 이어 세 번째로 대통령의 집권당 탈당이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 야권은 크게 분열되었다.

선거 결과 민주당은 초상집을 방불케 했다.
지도부 인책론이 제기되고, 후보교체론이 터져 나왔다. 후보로 결정된 노무현이 6ㆍ13선거에서 영남권에서 단체장을 1명이라도 당선시키지 못하면 후보 재신임을 묻겠다고 말한 적이 있어서, 사태는 더욱 꼬여들었다. 반대 진영에서 후보 교체론을 제기하고 ‘국민통합 21’의 정몽준 쪽을 기웃거리는 의원도 적지 않았다.

노무현 후보에 대한 당내 입지가 흔들리면서 그는 당의 전폭적인 지원도 받지 못한 채 고군분투하고 있는 가운데 대선정국은 노무현ㆍ이회창ㆍ정몽준의 3자 대결구도로 압축되고 있었다. 수구족벌신문과 한나라당은 노무현 장인의 과거 행적을 두고 붉은색 칠하기의 선거전은 초반부터 흑색선전으로 전개되고, LG 등 재벌기업이 수 백억 원의 현금을 ‘차떼기트럭’으로 한나라당에 넘겨주는 등 타락상이 극에 이르렀다.

이에 반해 일반 시민들이 노무현 돕기 운동에 나서 ‘희망돼지 저금통’이 밀려들어왔다.
6월에는 경기도 동두천에서 여중생 효순ㆍ미선 양이 미군장갑차에 깔려 사망한 사건이 일어났다. 어린 학생들의 억울한 죽음도 문제였지만, 미군 당국의 사건 은폐와 범인들의 무죄 평결이 국민의 분노를 일으켰다. 이 무렵 노무현 후보가 한 번도 미국을 방문하지 않은 것을 두고 이회창 진영과 족벌신문들이 그를 ‘반미주의자’로 몰아치는 어처구니없는 일도 벌어졌다.

민주당 후단협 소속 의원 중 일부가 정몽준 진영으로 넘어가는 등 우여곡절 끝에 노무현과 정몽준의 후보 단일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투표 하루 전날 정몽준이 기자회견을 통해 ‘단일화 철회’를 발표하면서 대선의 투표 결과는 예상하기 어려운 국면으로 빠져들었다.

 


당선이 확정된 직 후 민주당사에서 꽃다발을 받은 노무현 당선자와 권양숙 여사.

 

노무현은 대선에서 이겼다.
개표결과 노무현이 48.91퍼센트(1,201만표)로서 46.59퍼센트(1,144만표)를 얻은 이회창을 57만여 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노무현은 서울ㆍ인천ㆍ경기ㆍ충청ㆍ호남ㆍ제주 등 10개 지역에서 이회창을 고르게 앞섰다. 영남에서도 평균 20퍼센트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고, 특히 호남에서 압도적인 지지를 받아 영호남 간 지역주의 장벽을 허무는 계기를 만들었다.

김근태는 노무현의 당선을 위해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마치 자신의 선거를 치루는 것처럼 활동하여 주변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김근태는 누구보다도 노무현과는 정책과 지향이 비슷함을 알게 되었고, 무엇보다 보수특권층을 대변해온 이회창의 집권이 역사의 물굽이를 역류시킬 것으로 보았기에, 노무현의 당선에 모든 역량을 쏟게 되었다.

노무현은 2003년 2월 25일 국회에서 제16대 대통령에 취임함으로써 ‘노무현시대’를 열었다.
‘참여 정부’로 이름 붙여진 노무현 정부는 개혁을 기치로 내걸었다. 하지만 초장부터 보수세력의 거센 도전에 직면했다. 전국 검사들과의 대화에서는 젊은 검사의 도발적 발언이 나오는가 하며, 청와대에 기자실을 없애는 대신 브리핑룸을 만들어 정례 브리핑을 시행하겠다는 ‘기자실 운영방안’이 발표되면서 보수언론의 극심한 비판에 시달리게 되었다. 보수세력과 보수신문은 처음부터 노무현 정부를 인정하지 않는듯한 태도로 대통령과 참여 정부를 몰아붙였다.


02.jpg
0.06MB
01.jpg
0.05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