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평전/[12장] 제15대 국회의원 당선, 원내 진출
2012/09/17 08:00 김삼웅
1995년은 김근태에게 새로운 삶의 시발점이 되었다.
황량한 재야에서 척박한 야당인이 된 것이다. 수평적 정권교체를 경험하지 못한 한국의 정치풍토에서 재야와 야당 사이에 큰 장벽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야당은 제도권에 속한다. 정당은 복수정당제가 헌법상으로 보장되면서 국가의 보호를 받는다.
한 시대의 해맑은 영혼이 시대정신을 구현하고자 들어 선 야당은 재야와는 또 다른 집단이었다.
시대의식이 없는 출세주의자들도 많았고, 정치보다는 정략에 능한 정상배도 적지 않았다. 유신ㆍ5공시대에 땀 한방울 흘리지 않고 권력을 탐하는 기회주의자들, 돈 보따리나 한 때의 지명도로 비례대표 또는 말뚝만 박아도 당선되는 지역에서 공천받아 선량노릇을 하는 국회의원도 없지 않았다. 물론 반독재 투쟁에 몸 바쳐온 정통 야당인이 많았다.
김근태는 과거 두 차례에 걸쳐 정치인이 될 기회가 있었다.
한 번은 1985년 2ㆍ12총선 당시 김영삼으로부터 종로구 출마 권유, 두 번째는 1991년 투옥 중일 때 김대중으로부터 신민당 부총재를 제의받았다. 김대중은 평민당에서 재야 인사들을 영입, 신민당으로 개편하면서 이우정ㆍ조세형 두 의원을 특사로 보내 입당을 제의했으나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 두 번 다 운동진영 내부 조건이 성숙하지 못하고, 개별적으로 정치권에 진출하는 것은 적절치 못하다는 판단때문이었다.
그런데 이번에는 야당에 참여하기로 결정하였다.
김근태가 정치참여 바꿔 말해서 야당에 입당하게 된 배경부터 알아보는 것이 순서일 것이다.
1994년까지 ‘마지막 재야’로 남아 있던 그는 1995년 초 평민당 후신인 신민주연합당과 꼬마민주당이 통합해서 새민주당을 결성하자 부총재 직함으로 여기에 참여했다. 민주세력의 집권을 위해서 참여한 것이다. 정국이 크게 요동치고 있을 때였다.
제14대 대선에서 패배하여 정계 은퇴를 선언하고 영국 유학에 이어 아태평화재단을 만들어 통일운동에 전념해 온 김대중이 1995년 7월 18일 정계복귀를 선언했다. 집권 초기 화려한 스포트라이트를 받으며 개혁을 추진했던 김영삼 정부가 급속히 보수화하면서 국정운영의 난맥상을 보였다.
문민정부의 총체적 실패를 지켜보던 김대중은 그 대안으로 자신감을 갖게 되고, 6ㆍ27 지방자치 선거를 진두 지휘, 야당의 압승을 가져오게 하였다. 그리고 정계에 복귀하여 새정치국민회의(국민회의)를 창당했다. 국민회의는 8월 11일 신당발기인대회에 이어 9월 5일 창당대회를 열었다. 김근태는 김대중으로부터 신당 참여를 권유받았다.
김영삼 문민정부의 실패로 자칫 민주주의의 위기를 맞게 되고, 남북관계는 전임 노태우 정부보다 훨씬 후퇴하고, 서민생계는 파탄상태에 이르렀다. 여기에 각종 대형참사까지 계속되면서 민심이 흉흉해졌다. 국정을 바로 잡을 대안세력이 요구되었다.
김근태는 국민회의 부총재로 영입되었다.
민주당이 이기택파와 반이기택파로 분열되어 심한 갈등을 빚으면서 김근태는 김대중의 국민회의에서 정권교체의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 부총재에는 김근태를 비롯, 김영배ㆍ박상규ㆍ신낙균ㆍ유재건ㆍ이종찬ㆍ정대철ㆍ조세형이 각각 선출되었다. 대부분 현역 의원이다.
지도위원에는 권노갑ㆍ길승흠ㆍ김봉호ㆍ김상현ㆍ김태식ㆍ김희선ㆍ라종일ㆍ유준상ㆍ신순범ㆍ신용석ㆍ안동선ㆍ이용희ㆍ정영모ㆍ정희경ㆍ천용택ㆍ한광옥ㆍ허재영, 원내총무에는 신기하, 사무총장에는 조순형, 정책위의장에는 손세일, 지방자치위원장에는 장석화, 대변인에는 박지원이 각각 임명되었다. 김근태는 제1야당의 최고지도부에 진입하게 되었다. 48세, 정치인으로는 늦깍이었다.
간디가 가는 길이 있고 네루가 가는 길이 있습니다.
재야운동은 사회운동과 정치운동의 길이 있습니다. 상징적으로 말하면 사회운동의 길은 간디의 길이고 정치운동의 길은 네루의 길입니다. 이 두 길은 서로 다르지만 지원하고 협력하는 길입니다. (주석 1)
김근태는 이제까지 걸어온 간디의 길에서 네루의 길로 접어들었다. 간디의 길과 네루의 길이 다른 것 같지만 목표와 지향은 다르지 않는 것이었다. 김근태의 말을 더 들어보자.
물론 내 개인적으로 간디의 길과 네루의 길을 동시에 다 갈수는 없지요. 나는 이제 네루의 길을 가는 겁니다. 그런 전제 위에서 간디의 길을 가는 사람들과 호흡을 맞추고 함께할 생각입니다. 국민회의(재야 단체-필자)에서 김상근 목사님과 함세웅 신부님을 상임대표로 하고 저를 공동대표의 한 사람으로 뽑은 것도 간디의 길에 대해 도덕적 우위를 인정한 것이지요. 아직까지 우리 사회는 도덕적 정당성을 중히 여겨야 합니다. (주석 2)
김근태는 자신의 행로를 두고 간디의 길과 네루의 길에 대해 많은 고심을 하였다. 그리고 해방 뒤 김구 선생 곁에 네루와 같은 지도자가 없었던 것을 안타깝게 여겼다.
위대한 영혼 간디가 인도 독립을 위해 비폭력 저항운동을 벌이며 전국을 순회하고 죽음을 각오한 단식 투쟁을 벌일 때, 위대한 현실주의자 네루는 간디의 그 숭고한 이상을 현실화하기 위해 정치를 했던 것입니다. 간디에게는 간디의 길이, 네루에게는 네루의 길이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해방 뒤 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홀홀단신으로 평양으로 떠나시던 김구 선생의 모습을 나는 지금도 잊지 못합니다. 사진 속에서 선생의 모습은 어쩐지 쓸쓸해 보였습니다. 만일 그때 김구 선생 곁에 네루와 같은 인물이 있었다면 어땠을까? 만일 그랬다면 우리 현대사는 크게 달라졌으리라고 생각합니다. (주석 3)
주석
1> 조유식, <길 떠나는 김근태의 화두>, <월간 말>, 1995년 3월호, 113쪽.
2> 앞의 책, 114쪽.
3> 김근태, <기억에 관한 소고>, <희망은 힘이 세다>, 19쪽, 다우, 2001.
'▷ 김근태 추모마당 > 김근태 평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1회] 도봉구 갑구에서 15대 의원 당선 (0) | 2013.03.15 |
---|---|
[80회] 민주당에서 국민회의에 참여 (0) | 2013.03.14 |
[78회] 미국 미시건대학의 초청 강연 (0) | 2013.03.11 |
[77회] ‘통일시대민주주의국민회의’ 창립 (0) | 2013.03.06 |
[76회] ‘정치적 국민운동론’ 제시하다 (0) | 2013.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