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평전/[7장] ‘이제 다시 일어나’, 결연한 옥중기
2012/08/12 08:00 김삼웅
네번째 편지는 3월 20일 역시 서울구치소에서 쓴 것이다.
이 날은 온종일 비가오고, 빗속에 싸라기 우박이 섞여 쏟아졌다. 편지 제목을 <겸재(謙齊)를 생각하며>라 달았다. 조선시대 화가 겸재 정선(鄭敾: 1676 ~ 1759)은 사실주의 기법으로 한국의 산수화를 즐겨 그렸다.
김근태는 눈 비오는 날 감옥에서 왜 겸재를 떠올리며 아내에게 편지를 썼을까.
거리에 캐롤 울릴 때쯤이었을까. 눈덮힌 산 그 아래 뾰족 첨탑 보이고 사슴이 끄는 썰매 탄 산타 할아버지 눈에 어른거렸네, 언제부턴가 생활 속으로 슬쩍 들어와 버린 카드 속 그림 닮은 그런 산, 그런 건물, 썰매, 그런 아이들 상상하였네.
난 그만 실소하고 말았지. 감수성이란 이런 것이구나 하고, 꿈속에서도 그리워하는 로렐라이 언덕, 하이델베르크 대학 앞 어디쯤 있을 황태자 첫사랑의 그 맥주집에 몸살나는 이 시대 교양인들. 브로드웨이와 헐리우드에 몸 자지러지는 저 대중들. 그 중에 하나일까, 나도. 겸재(謙齊) 생각했지, 부끄러워 하면서. (주석 7)
김근태는 조선시대의 지식인들이 중국적 봉건질서에 예속되어서 화가는 상상속의 중국의 산과 강을 그리고, 식자들은 공맹(孔孟)의 길에서 허우적거릴 때 펄펄 살아 뛰는 우리 강산을 유려한 필치로 그린 조선화가 겸재를 그리워한다.
오늘은 어떤가. 혹시 진서 대신 원서가, 한문대신 영어가, 중국 대신 서양이 또 그 역할을 해내고 있는 건 아닐까. 꼬부랑 관념과 감수성, 글씨 몇 개 아는 지식인들 지배계층에 끼여들고 그렇게 제도화되어 있고, 그 아랫사람들 열심히 흉내내고, 흉내바람은 사회적 강제가 되고, 분명하지 않은가 말이여.
여기에 끼지 못하는 건 처벌이고 소외인 거야. 세련됨, 모던함을 소유하고 즐기는 것, 그러기 위한 훈련, 학습, 교양 갖으려고, 한 마디로 간판 따려고 우리 모두 서둘러 왔던 것 같지. 서양의 문화, 문물, 예술 모두 암암리에 보편적인 것 되고, 특히 진정한 그 내용이나 진리가 아니라 단편적 사실, 어떤 형식이나 약간의 흉내가 오히려 기승 부려 진짜 인류의 보편적 발전방향은 목졸라 버리는 것 같고, 그것으로써 우리 자신의 주체성과 주인의식은 잊어버려 민족 허무주의에 빠지게 만들고, 인간성 구현을 위한 발전방향과 진리는 서양의 특수한 것이라고 매도해 버리고, 역사는 반복할 것인가.
수치스럽게도 소중화(小中華)로 자부하며 더욱 중국적이었던 조선, 또 다시 개명한 20세기 후반에 우리는 자신을 서양보다 더욱 서양적으로 만들어 버릴 것인가. 진리 냄새피우는 한 글자 한 글자 붙들고 부들부들 떠는 위대한 지도자들이 등장한 이 시대에. (주석 8)
김근태의 이 서한은 그의 세계관 또는 인생관을 가늠하게 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검열자의 시선을 감안하면서 쓴 것임을 생각하면, 운동가ㆍ투사 김근태의 깊은 내면의 일단을 살피게 한다. 주인의식을 상실한 채 ‘민족허무주의’에 빠진 지식인들을 김근태는 조선시대 식자들과 대비하고 있다.
재판에 임하면서 참 묘한 느낌이 들었었다오. 그 중에 하나가 판검사, 변호사들과 만났을 때 나도 지식인의 한 사람으로서 서로 동류임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있었지. 말씨나 절차 그것에서도 상호 느낄 수 있었고 말이오. 물론 서 있는 입장이 다르면서도.
우린 한국 사회의 지배계층임을 아니 적어도 상류계층임을 암암리에 인정하고 있는 것 같았소. 그러다가 구치소로 돌아와 특히 자신의 감방에 들어가 갇혀질 때면 최하 천민계층으로 급락하는 것이었소. 부자유 그건 능멸받아 마땅한 것이오. 옛날 노예가 살아 있는 도구라고 짓밟혔던 그림자 아직도 여기에 살아 있는 거요. 여하튼 이런 차이를 반복하여 느끼면서 나는 사실 꽤 당황하였다오. 정서적으로 묘한 혼란도 오고, 특별한 대우를 받고 싶어하는 얄팍한 마음도 생기고 말이오. 자꾸 설명하고 싶어지고, 이것 모두 쓰잘 데 없는 것임을 잘 알면서도 말이요. (주석 9)
주석
7> 앞의 책, 179~180쪽.
8> 앞의 책, 180~181쪽.
9> 앞의 책, 181~182쪽.
'▷ 김근태 추모마당 > 김근태 평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5회] 현대사의 통증, 자신의 고난으로 감내 (0) | 2012.12.17 |
---|---|
[44회] 7살 아들 편지받고 아버지 기려 (0) | 2012.12.16 |
[42회] 아내 생일선물로 ‘사랑의 미로’ 불러 (0) | 2012.12.14 |
[41회] 5공의 만행, 성고문까지 자행하고 (0) | 2012.12.12 |
[40회] 모리스 돕의 저서도 유죄 이유 (0) | 2012.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