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평전/[7장] ‘이제 다시 일어나’, 결연한 옥중기

2012/08/14 08:00 김삼웅

 

 

미국 프린스턴 신학대학과 샌프란시스코 신학대학 등에서 교수를 지낸 제임스 에머슨은 고통과 고난을 분리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고통은 피할려면 피할 수 있지만, 고난은 스스로 선택하기 때문이란 이유다. “옳은 일을 위해 감옥에 가는 일”은 피할 수 있는데도 받아들이는 고난이라는 뜻이다.
(주석 13)

김근태는 결코 고난을 피하려 하지 않았다. 현대사의 아픔, 통증을 자신과 역사ㆍ민중의 통증으로 받아들이면서, 이를 피하지 않고 민주화의 전위가 되었다. 무더위 속의 옥살이를 하면서 아내와 지인들이 보내 준 책을 열심히 읽었다. 옥살이의 시간이 더해갈수록 내면의 더께도 그만큼 깊어갔다.

영등포구치소에서 6월 19일 처음으로 어린 아들과 딸에게 편지를 썼다. 아빠 없이도 무럭무럭 자라는 아이들이 대견하고 애비 역할을 다하지 못하는 현실이 안타까왔다. 아이들에게 편지를 쓸 때는 그도 평범한 아버지였다.

병준아, 병민아 잘 있었니.
오랫동안 너희들에게 소식을 전하지 못했구나. 아버지는 이사를 하였고, 유난히 마음 상하는 일이 있어 그렇게 되었단다. 우리 병준이, 병민이가 씩씩하게 자라는 것은 엄마가 보내주는 편지를 통해서 아주 잘 알고 있다. 특히 엄마 편지와 함께 날아 온 너희들의 그림을 재미있게 들여다 본단다. 엄마, 아빠를 그린 병준이 그림, 병민이 그림 모두 잘 그렸고, 글씨도 잘 쓰는구나.

병준아, 학교 마당에서 뛰어노는 아이들, 놀이터에서 노는 아이들을 그린 네 그림 속에서 금방 병준이가 “아버지!” 하면서 뛰어 나올 것 같구나. 학교생활이 신나고, 동무들과 사이좋게 지내는 모습이 그 그림에 배어 있구나. 하늘에는 해가 환하게 웃고 있고 말이다.
(주석 14)

이어지는 다음의 내용을 보면 평범한 30대 후반의 부정(父情)을 흠뿍 느끼게 된다.

병민아, 역곡 일두아파트 뒤에 있던 약수터 기억하고 있니? 거기에 네 손을 잡고 노래부르면서 오빠, 엄마와 함께 갔던 것, 나는 그리워 한단다. 약수터 가는 논길에서는 개골개골 개구리 소리가 병민이를 반겨 주었고, 앞쪽 산숲에서는 뻐꾸기가 뻐국, 뻐어꾹 하고 울어 댔었지. 아버지가 병민이한테 가는 날 우리 모두 뻐국, 뻐어국 소리내면서 다시 한번 약수터에 가자. 그래서 개구리도 만나고 뻐꾸기도 만나고 말이다. (주석 15)

김근태는 이 해 8월 다시 강릉교도소로 이감되었다.
계속하여 고통을 주려는 당국의 뜨거운 ‘배려’였다. 시국이 점차 가열되면서 전두환 정권은 운동권의 ‘발화체’를 가급적 먼 지역으로 격리시키려는 전략이었다.

8월 28일 모처럼 부인에게 편지를 썼다. 자신이 결코 약하지 않은 사람이라면서 “매맞고, 갇히고, 모욕당하는 것은 정말 쉽지 않은거요. 피할 수 있다면 모든 수단과 핑계를 대서 모면하는 것이 인간의 심정일 것”이라 토로한다.

김근태가 믿는 예수는 십자가 위에서 “나의 하나님 나의 하나님 어찌하여 나를 버리셨나이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러나 나의 원대로 마시옵고 아버지의 원대로 하옵소서”하고 고난을 거부하지 않았다. 가톨릭신자 김근태 역시 고난을 피할 수 있으면 피하고 싶었지만,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고, 역사의 소명이라면 거부하지 않겠다는 다짐이었다.

아, 고백 그것이 필요한 것 같소. 우리들의 망설임과 흔들림, 나는 고백할 수밖에 없는 것이오. 치욕스런 굴종을 강제당할 때, “아니오” 하면서 고개를 바짝 쳐드는 것은 확실히 어렵고 두려운 일이오. 하지만 노예에의 길에 대한 거부의 대가로 틀림없이 찾아드는 매맞고 짓밟힘, 자유의 박탈, 이것은 속병 들게 하는 것이고 한이 맺히게 하는 것이요. 이 갈구, 이 목마름은 그 박탈에서 오는 것이 아니겠소.

우리네 목마름과 외로움은 너무 깊어서 아무리 단단히 결심을 해도 일단 자유의 냄새가 한번 풍겨지면 송두리째 흔들려 버리고 말 것이지요. 위로 또한 있어야 새롭게 다시 시작할 수 있을 게요. 매맞고 갇힌 자들이 남은 자들 되어 꿈을 깊게 꿀 수 있는 것은 이런 고뇌와 흔들림 속에서만 가능하다고 믿는다오.
(주석 16)

김근태는 외롭고 고통이 심하여 마음이 흔들릴 때면 일제강점기 어려웠던 시기에 고통을 감내하며 고난의 길을 마다하지 않았던 독립운동가들을 떠올렸다. 그리고 현실로 돌아와 젊은 학생들의 통곡소리에 ‘다시 일어서는’ 용기를 찾곤 하였다.

저 30년대 일본제국주의가 더욱 강성해지고 운동가들 일부가 대열에서 교묘한 논리로 이탈하고 일반대중은 체념 속에서 일상생활로 매몰되어 가던 그 시기는 우리 민족에겐 아주 깜깜한 어둠이었을게요. 그런 어둠 속에서도 일제와 강경하게 싸워 나갔던 민족해방운동가의 맘은 어땠을까 상상해 보면 내 숨이 막혀 버리는 것처럼 답답해지는 것이오.

그런 자랑스런 선조, 선배 동지들이 있었기에 그래도 오늘의 우리가 있을 수 있는 것이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오. 그 분들은 역사발전 법칙에 대한 명확한 파악과 분석을 했을 것이요. 그 위에 고뇌의 슬픔 속에서도 꺼지지 않는 신념, 흔들림 속에서도 결국 한 발자국 앞으로 내딛는 걸음걸음이 있었을게요. 아니 이것만이 전부라고 해서는 안 되겠지만, 이것 없는 어떤 것도 사상누각에 지나지 않는 것은 분명하지요.

내 가슴에 패이는 상처를 보면서, 나는 젊은 학생들의 통곡소리를 듣는 것이라오. 저 소리 죽인 흐느낌 말이요. 내가 들어와 있는 것이 그들에게 위로가 되었으면 하는 맘인데, 이렇게 약한 소리만 할 수밖에 없으니 안타까와지는구료. 하지만 말이요, 이런 흔들림에 대한 고백 속에서 어김없이 다시 일어서는 것이 진정한 용기일 것이요. 이것을 굳게 믿고 싶은 바이요.
(주석 17)


주석
13> 제임스 에머슨 지음, 송우용 감수, <고난, 행복한 선택>, 22쪽, 가치창조, 2002.
14>
<이제 다시 일어나>, 184~185쪽.
15> 앞의 책, 185쪽.
16> 앞의 책,
187쪽.
17> 앞의 책, 187~188쪽.


02.jpg
4.91MB
01.jpg
0.1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