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인 함석헌 평전/[17장] 함석헌의 야인혼과 저항정신

2013/03/03 08:00 김삼웅

 

 

 

함석헌은 출생을 들사람으로 시작했다.
옛적부터 푸대접 받고 소외된 땅 평안도 상놈(평민)의 후예로 태어났다. 바탕이 들사람이고 자라나기를 상민들과 함께하였다. 민중정신을 기르는 ‘청산맹호(靑山猛虎)’라는 오산(五山)의 교육이념은 함석헌의 혼과 얼을 키우는데 안성맞춤이었다. 이곳에서 참스승을 만나 저항정신이 길러지고 민중과 대화하는 말길(言路)을 배웠다. 청년기에 3.1운동에 직접 나서고 일본제국주의의 폭압을 겪었다. 그리고 외면하지 않고 저항하였다.

이후 식민지배, 공산주의, 백색독재, 군사독재와 싸우면서 숱한 필화를 겪고, 옥고를 치르고, 온갖 고난을 당했다. 그러나 명저의 저술가가 되었지만 돈을 모으지 못하고, 종교인이라는 타이틀이 붙었지만 장로ㆍ신부 ․ 목사가 되지 못하고, 교사 생활을 했지만 교장, 총장을 하지 못하고, 반생을 언론과 함께 하면서도 거대 신문, 잡지의 사주가 되지 아니했다.

80여 년을 살아 온 오늘까지 그는 한번도 벼슬을 한 적이 없다. 권력계층이나 부유층에 끼어 본 적이 없다. 다스리는 자리에 앉아본 적도 없고 ‘가진 자’의 부류에 끼어 든 적이 없다. 그런가 하면 어떤 성직에 있어 본적도 없다. 흔히 그를 ‘종교인’이라고 부른다. 이건 그에 대한 편이상의 호칭일 뿐, 그에게는 어울리지 않는 명칭이다. ‘씨알’에게 명칭이 붙을수록 씨알스럽지 못한 점을 감안하면, 적어도 겉으로라도 그는 ‘씨알’의 한 상징임에 틀림없다. (주석 5)

함석헌은 ‘겉으로라도’가 아니라 속내가 알짬 씨알이고 들사람이다. 권력은 탐하고 부를 추구하고 종교나 교육계의 자리를 원했다면, 그의 능력이나 성실성과 치열함으로써 얼마든지 성취가 가능했을 것이다. 하지만 그는 들사람이고 씨알정신이기 때문에 세속의 감투나 관직 따위는 관심 밖의 일이었다.

반면에 그는 어리숙하고 바보스럽고 타산적이지 못하고 처세에 약하고 세상의 물정을 잘 몰랐다. 그는 자신을 우리 말로 바보새, 한자로 신천옹(信天翁), 영어로 알바트로스(allbatros)라고 부르는 ‘바보새’가 되었다. 바보새를 닮았고, 휘호에도 신천을 낙관으로 썼다. 프랑스 <악의꽃>의 시인 보들레르는 가난한 민중, 소외된 자, 고아, 창녀들을 노래하며 그들의 벗이 된 ‘저주받은’ 시인이다. 보들레르는 알바트로스의 모습을 자신의 자화상으로 그렸다.

뱃 사람들은 자주 장난거리로
항해의 벗인 양
뱃길따라 미끄러지는 선박을 뒤쫒는
아주 커다란 알바트로스를 붙잡는다.

간판 위에 막 던져진 순간,
이 창공의 임금님은 힘들게 노를 젓듯
조롱을 받으면서
그 큼직한 흰 날개를 질질 끌어댄다.(후략)
(주석 6)

함석헌이야말로 20세기 알바트로스다.
장자, 노자, 제논, 디오게네스, 플로티노스, 두보, 비용, 원효, 양녕대군, 임제, 무학대사, 김시습, 이지함, 김삿갓, 이달, 허균, 이탁오, 브르노, 스피노자, 소로, 셀리, 하이네, 조르주 상드, 애드가 앨런 포우, 보들레르, 톨스토이, 도스토예프스키의 혼과 얼과 행동이 전해지고 합해진 바보새이고 신천옹이고 알바트로스다.

20세기가 첫 시작되는 해에 고난의 한국에서 바보새가 태어난 것은 심상한 일이 아니었다.
20세기 전반기는 일제의 압박에, 후반기는 분단, 전쟁, 독재, 민주화의 고된 전장터의 씨알에게 그는 항상 벗이고 동지이고 교사이고 스승이었다. 고난의 시대에 씨알은 그가 곁에 있었기에, 다른 민족이 1천 년에 겪을까 말까한 일을 1세기 동안에 모두 겪으면서도 미치거나 망하지 않고 살아 갈 수 있었다.

독재 권력자들이 미쳐날뛰고, 외세가 국토를 동강내고, 재벌이 미다스의 손이 되고, 언론이 권력과 재벌의 나팔수가 되고, 교수들이 지식난쟁이를 대량생산하고, 종교인들이 물신주의의 바벨탑을 쌓을 때, 그래도 함석헌의 야인 혼이 있어 씨알은 위로 받고, 숨통을 트고, 저항정신을 길러 민주주의를 지켜냈다.

함석헌은 20세기 한국인 중에서 아주 드물게 세계사적 사상과 철학을 가진 인물이다. 반도에서 태어나 일본 섬나라에서 공부했지만, 그의 사유의 넓이와 깊이는 대륙적이고 국제적이었다.

“함석헌의 씨알사상 속에 아시아의 정신적 유산의 알짬과 성서적 신앙의 핵심이 융합되어 새로운 21세기의 종교사상의 씨앗으로 열매 맺고 있다.”
(주석 7)

함석헌만큼 사상사, 정신사, 철학사, 종교사, 민주주의 역사를 꿰뚫는 이는 우리 근현대사에서 유례를 찾기 힘들다. 가히 사상의 통섭자이고 철학의 실천자이다. 바보와 노마드는 ‘궁합’이 맞지 않는 관계이지만, 그는 모순의 창과 방패를 바보라는 보자기로 싸서 이것을 융합하고 실행하는 야인이 되었다.

나는 그이와 수개월 이국땅에서 지낼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어떤 때는 한 가지 일을 되씹고 고쳐 생각할 뿐 아무런 결단도 못하는 햄릿, 어떤 때는 손에 아무런 방도도 없으면서 세계에 저항할 듯 흥분하는 돈키호테, 조용히 정좌해서 끝없는 명상에 잠긴 모습은 수도승의 모습인데, 시속 120킬로 달리는 차를 더 속력내라고 하며 쉬지 말고 일생이라도 달렸으면 할 때는 돈환, 세계지도를 내놓고 관광할 계획에 심취할 때는 고향 없는 집시, 그러나 한국에서 온 신문을 손에 들었다가 드시던 식사를 그만두고 목이 메어 울면서 귀국길을 위해 짐을 쌀 때보면 이 땅에 뿌리를 박은 애국자, 글을 쓴 것을 보면 사고에 골똘한 분인데 왜 그렇게 안절부절할까? 가슴에 화살을 맞은 이처럼! 그렇다. 그는 가슴에 화살을 맞아서 안절부절이다. 그 안의 양극성, 그 안의 이율배반 그것이 바로 그의 가슴에 꽂힌 화살이다. (주석 8)


주석
5> 송기득, <함석헌의 저항론>, <씨알․인간․역사 - 함석헌 선생 80순기념문집>, 한길사, 1982.
6> 이치석, <씨올함석헌 평전>, 35~36쪽, 재인용, 시대의 창, 2005.
7> 김경재, <함석헌의 씨올사상연구>, <신학연구>, 30 (1989년).
8> 안병무, <선생님께 드리는 글>, <함석헌선생 80순기념문집>, 6쪽.

 


01.jpg
0.03MB
02.jpg
0.01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