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인 함석헌 평전/[17장] 함석헌의 야인혼과 저항정신

2013/03/02 08:00 김삼웅

 

 

"함석헌은 누구냐? 그의 사상은 무엇이냐?" 물었을 때 압축이 쉽지 않다.
그것은 마치 호메르스의 <일리아드>를 한 마디로 줄이거나 고려의 <팔만대장경>을 열 마디로 요약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과 같다.

2010년 4월 교수신문은 ‘근대 백년 논쟁의 사람’의 대표적 인물로 함석헌을 뽑았다.
그가 역사 분야의 대표 인물로 뽑히고, 전체로도 수위를 차지했다. 망국과 식민지, 독립운동과 친일, 해방과 분단, 독재와 민주의 굴곡진 현대사에서 속출한 수많은 학자, 정치인, 기업인, 언론인을 제치고 함석헌이 1위로 뽑힌 것은 무슨 까닭일까.

함석헌은 종교인, 역사가, 언론인, 민주화운동가, 시인, 교육자, 저술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고, 각 분야에서 대표적 위치에 오를 만큼 사유와 활동의 폭이 넓고 깊고 다양했다. 많은 업적도 남겼다. 정신과 철학, 사상면에서 100년에 한번 날까 말까한 ‘세기난우(世紀難遇)’의 인물이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함석헌은 역사책을 썼지만 역사학자가 아니고, 시집을 냈지만 시인이 아니고, 농사를 짓고 아이들을 가르쳤지만 농부도 교사도 못되었다. 독실한 기독교인이지만 목사, 신부가 되지 아니하고, 반독재 투쟁의 선봉에 섰지만 정치를 하지 않았다. 당대에 언론인 누구보다 날카로운 시론, 평론을 많이 썼지만 직업 언론인이 되지 않았다.

그럼 함석헌은 누구냐, 무엇이냐.
한마디로 야인(野人)이고 들사람이다. 여당, 야당 할 때의 권력을 잡지 못한 정당을 뜻하는 것이나 관직에 나가지 않은 야가 아닌, 그야말로 순수한 들사람을 말하는 야인이다. 우리 조상들은 압록강과 두만강 이북에 살던 만주족을 야인이라 불렀다. 야만족이란 비하가 따랐다. 하지만 함석헌을 일컬을 때의 야인은 그런 의미와는 격이 다른 맨사람, 씨알을 말한다.

야(野), 곧 들은 도(都), 읍(邑)에 대해 쓰는 말이다. 사람이 많이 모여 사는 곳이 읍, 그 읍 중에서도 나라 임금 있는 곳이 도다. 야는 그 도읍 밖에 나와 있는 들, 교외다. 시골, 농촌이다. 야인, 들사람은 시골사람, 두메 사람이다. (주석 1)

함석헌은 “문명의 병이 들어 정신이 약해지면 반드시 소수의 사람들이 나타나서 썩어가는 백성을 책망하여 그 마음속에 잃어버린 야성(野性)을 도로 찾도록 부르짖는다.” (주석 2)고 했다. 중국의 노자와 장자, 아테네의 소크라테스, 미국의 휘트맨과 소로를 대표적 야인으로 꼽았고, 그는 또 새시대의 문을 연 예언가를 야인으로 보았다. 예레미아, 엘리야, 아모스, 호세아, 세례 요한, 예수를 순수한 들사람이라고 지목했다. 조선시대 매월당 김시습도 들사람이라고 하였다. 함석헌 자신도 이들과 한 줄에 꿰이는 들사람이다.

 



함석헌은 누구인가?

첫째, 아나키스트다.
세계평화주의, 자연론적 사회관, 개인의 자주성과 부당한 권위에 대해 저항한 아나키스트이다. 일본인 케무야마 센타로(煙山專太郞)가 의도적으로 오역한 무정부주의자가 아니라 크로포토킨에 의해 체계화된 반봉건ㆍ반전제ㆍ반강권주의, 개인의 자율과 자치를 존중하는 아나키스트다.

둘째, 소로주의자다.
자연주의, 물질과 과학 위에 서야 한다는 초절주의, 부당한 조세와 침략전쟁을 거부하는 높은 정신운동, 기계 문명의 거부, 단순한 생활을 지향하는 소로주의자이다.

셋째, 간디주의자다.
비폭력저항, 불복종 ․ 비협력주의, 불가촉민(不可觸民, 씨알)의 지위향상운동, 민중교육운동, 인도 고유의 전통사상인 사티아그라하(眞理把握)운동, 절제된 생활원칙인 브라아마차리아(brahmacharya) 등 종교적 행위와 정치적 행위를 결합하여 ‘국가의 도덕성’을 실천한 간디의 사상과 철학을 실천한 간디주의자다.

넷째, 유목주의(nomadism)자다.
그의 사유와 철학은 고정되지 않고, 장소와 상황에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이동하는, 이동성과 도전성을 보여주는 노마디즘의 실천자이다. 고금동서를 종횡하면서 세계사의 정신과 사상을 육화(肉化)한 도전가이고, 머물면서는 민주화운동과 씨알의 세상을 위한 언로(言路)를 개척한 뉴노마니스티다.

다섯째, 퀘이커교도이다.
기록된 교리도, 교회와 성당과 같은 지정된 예배장소도, ‘선교’라는 말 대신 ‘봉사’라는 말을 선호하는, “진리를 믿는다고 스스로 내놓고 말하는” 퀘이커다. 무교회주의와도 가깝지만 보다 근원적인 종교관은 톨스토이, 간디, 우찌무라 간조, 유영모와 종교사상과 맥을 같이 한다. 하지만 “지금 내가 같이 있는 퀘이커도 내 영혼의 주는 아닙니다.”  (주석 3)라고 말할 정도로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다. 기독교의 형식주의와 세속화를 거부하는 퀘이커 교도이다.

여섯째, 풍류사상가(風流思想家)다.
근래에 술 잘마시고 여성편력이 마치 ‘풍류’인 것처럼 타락했지만, 우리 민족사상의 원형인 풍류는 생각이나 생활에서 속(俗)되거나 삿(邪) 됨이 없는 생활철학을 말한다. 함석헌의 선풍도골의 헌헌한 모습이나 무애(無碍)의 사유와 활동은 한국의 마지막 풍류사상가이다.

일곱째, 평화사상가이다.
그의 모든 탐구ㆍ실천ㆍ도전ㆍ저항의 궁극적 목표는 평화에 있었다. 국가주의와 국수적민족주의를 거부하고, 제국주의와 공산주의를 거부하고, 일체의 권위주의를 배격하였다. 칼을 녹여 보습을 만들어야 한다는 고전적 평화정신에서부터 현대 ‘무장된 평화체제’를 반대하였다. 일국의 평화가 아닌 지구촌의 평화를 추구하였다.

함석헌은 사상적으로는 간디주의, 사회적으로는 아나키즘, 철학적으로는 소로주의, 정신적으로는 노마니즘, 퀘이커신앙, 풍류정신을 융합하고 통섭한 대사상가이다. ‘야인’, ‘씨알 사상’은 바로 이렇게 하여 생성되고 발육되고 실천되었다.

다보스포럼(세계경제포럼)은 2012년 42회 째 대회에서 <대전환 : 새로운 모델의 형성>이라는 주제로 과거 자본주의는 틀렸고, 새로운 모델을 만들어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현실사회주의는 이미 망했고, 자본주의의 낡은 기차는 종착역에 이르렀다.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 회장은 “자본주의 시스템과 그를 기반으로 한 경제학은 위기에 도달했다. 우리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줄 수 있는 사람을 절실히 원하고 있다.” (주석 4)고 다보스포럼에서 말하였다.

21세기 인류의 미래상이 간디주의, 아나키즘, 소로철학, 노마디즘, 퀘이커주의, 풍류정신을 융합하고 통섭하는 ‘야인주의’라면 함석헌은 이미 20세기 중반부터 후반에 이르러 이를 실천하는 삶을 살았다. 기계적 합리주의자들의 눈에는 ‘바보’로 보이고, ‘배부른 돼지’들의 눈에는 ‘가난뱅이’, 세속적 권력주의자들에게는 ‘정신분열증 환자’로 비쳤겠지만, 시대를 앞서가는 사람들에게는 항상 그런 음해와 비난이 따랐다. 함석헌도 마찬가지였다.

주석
1> 함석헌, <인간혁명>, 일우사, 1962년.
2> 앞과 같음.
3> 함석헌, <벤들힐의 명상>, <함석헌 전집>, 제3권.
4> <다보스포럼, 자본주의를 버리다>, 매일경제신문사, 2012.


 


01.jpg
1.4MB
02.jpg
0.06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