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평전/[14장] 정계의 차세대 지도자로 성장하다

2012/10/06 08:00 김삼웅

 

 

 

고수(高手)는 고수끼리 알아보고 순수는 순수를 좋아한다.
2000년대 초 ‘포스트DJ’를 놓고 민주진영에서는 물밑 경쟁이 조용한 가운데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큰 나무 아래에서는 작은 나무가 자라기 어렵듯이, 야권에서는 70년대 이래 김대중ㆍ김영삼 두 거목 밑에서 양김에 버금가는 인물이 나오지 않았다. 오히려 재야 쪽에서 차세대 지도자그룹이 성장하고 있었다.

대표적 인물이 김근태와 노무현이었다.
노무현은 부산에서 인권변호사로 두각을 나타내며 13대 국회에 들어와, 3당야합을 거부하면서 ‘지역갈등해소’의 기치를 들고 낙선을 거듭하면서도 고난의 행진을 계속하고 있었다.

김근태가 재야에서 반유신ㆍ반5공 투쟁을 통해 재야의 대표 주자로 성장하고 있었다면, 노무현은 법조활동과 야당의 정치활동을 통해 두각을 나타내고 있었다. 두 사람은 함께 고난의 젊은날을 보냈으면서도 순수한 품성을 지닌 ‘비정치적인 정치인’이 되었다.

이들은 잠재적인 라이벌이면서도 서로를 존경하고 좋아하였다. 걸어온 길이 다르고, 정치적 환경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결곡한 삶의 역정과 따뜻하고 진솔한 품성은 비슷한 점이 많았다. 노무현의 얘기다. 당시 노무현은 새천년민주당 최고위원이었다.

김근태 의원 때문에 나는 서울 명동 한복판에서 감격한 적이 있다.
1992년 8월, 그날은 그의 석방 환영회였다. 당시까지 나는 김 의원과 각별한 친분이 있는 것은 아니었고 그저 민주화운동을 함께해 온 동지의 심정으로 그 자리에 참석했던 터였다. 그런데 느닷없이 김 의원은 나를 가르켜 “이 시대의 의인이요. 정치적 희망” 이라며 당시 모였던 재야의 쟁쟁한 인사들 앞에서 소개를 했다. (주석 2)

김근태는 평소 성격상으로 치밀하고 신중한 태도와 함께 아주 정제된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으로 정평이 나 있다. 이런 그가 노무현에게 “이 시대의 의인이요, 정치적 희망”이라 표현한 것이다. 의례적인 답례이긴 하지만 그를 오랫동안 지켜보면서 느낀 ‘정제된’ 언사였다. 다음은 노무현의 김근태에 대한 평가다.

 



‘김ㆍ근ㆍ태’
이 이름 석 자는 지난 시절 내게 있어서 신비로움과 경외의 대상이었다. 내가 그의 이름을 처음 접한 것은 80년대에 가장 치열했던 반독재 투쟁조직인 민청련 의장으로 활동할 때였다. 당시 누구도 엄두를 못냈던 5ㆍ18추모식을 서울 한복판에서 최초로 가진 것과 그후 신문사회면 하단에 그의 구류 소식이 단골로 등장한다는 정도였다. 그러나 1985년 그에게 가해진 그 무시무시한 고문사건이다. ‘김근태’라는 이름이 내 뇌리에 경외의 상징으로 각인되었다. 그 당시 나도 부산에서 변호사 사무실 문을 닫다시피 하여 독재정권과 싸울 때였다. 그에게 가해진 고문에 대한 기록을 읽은 나는 전율했고, 이 사건을 당시 투쟁의 쟁점으로 삼아 독재정권의 폭력성을 부산 시민에게 알리기도 했다. (주석 3)

노무현은 이어서 “가장 원칙적이면서도 조직을 위해서는 자신을 내세우지 않는 분, 음모적이지 않고 책략에만 매달리지 않는 재야의 지도자”라고 김근태를 평한다. 이 말은 주객을 바꾸어 노무현에게도 들어맞는 말이다. 그래서 두 사람은 ‘심정적’으로 통했다. 다시 노무현의 말이다.

살다보면 괜히 좋은 사람이 있다. 아마 누구에게나 있을 법한 일인데, 내게 특별히 잘해주거나 각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것도 아닌데, 그냥 신뢰감이 가는 그런 사람이 있는 것이다. 나에게는 김근태 의원이 바로 그런 분이다. 정치인은 욕심이 많다.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지만 너무 턱없는 욕심 때문에 문제가 되기도 한다. 만약 내가 김근태처럼 신중하고, 치밀하고, 의젓한 이미지를 갖고 싶어한다면 너무 큰 욕심을 낸다고 사람들이 비난할까 무섭다. (주석 4)

노무현의 김근태 평을 다소 길게 소개한 데는 까닭이 있다. 즉 다음의 글을 인용하려는 이유 때문이다. 노무현의 이같은 바람은 실제로 3년 뒤에 이루어졌다.

만약 우리나라의 미래를 앞두고 그와 내가 정치적으로 경쟁하는 1:1 카운터 파트너가 되면 우리 사이는 어떻게 될까. 정치인이라면 누구나 한번 해봄직한 욕심이고 상상이지만 무척 행복할 것 같다. 서로 주어진 결과에 기꺼이 승복하고 나아가서는 적극 지지할 수 있는 그런 신뢰가 분명한 관계라고 단언한다. 혹은 다자간의 경쟁이 되면 제일 먼저 찾아가 “우리 같이 합시다”라는 이야기를 마음 터놓고 할 것 같다. (주석 5)

두 사람 관계는 제16대 대선 후보 경선과정에서, 그리고 노무현 정부의 수장과 각료관계로 이어진다.


주석
2> 노무현, <살다보면 괜히 좋은 사람이 있다>, <푸른내일> 14호, 1999년 5월.
3> 앞의 책.
4> 앞의 책.
5> 앞의 책과 같음.


01.jpg
0.04MB
02.jpg
0.03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