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근태 평전/[14장] 정계의 차세대 지도자로 성장하다 2

012/10/08 08:00 김삼웅

 

 

 

김근태가 1991년 10월 중순에 가진 한 언론인터뷰가 보도되면서 정계와 시민사회에 뜨거운 파문을 일으켰다. 특히 민주화운동 유가족들에게 충격을 주고 비판의 소리도 높았다.

“이근안 전경감은 고문의 가해자이면서, 결과적으로는 어두웠던 군사독재의 피해자이기도 하다. 지난 고문사건의 진상을 고백하고 국민에게 용서를 구한 다음 나에게 화해의 악수를 청하면, 그 손을 맞잡을 용의가 있다”고 발언한 것이다.

용서는 가치 있는 덕목임에 틀림없다.
“남의 허물을 덮어 주면 영광이 돌아온다.”(구약성서 잠언 19:1), “남을 용서하여라. 그러면 너희도 용서를 받을 것이다.”(신약성서 누가복음 6:37). 공자는 세상에 한 글자만 남긴다면 ‘용서할 서(恕)’자 라고 하였다.

어느 날 베드로가 예수께 물었다.
“주여 형제가 내게 죄를 범하면 몇 번이나 용서하여 주리이까, 일곱 번까지 하오리까.” 예수께서 이르시되 “일곱 번이 아니라 일곱 번을 일흔 번까지라도 할지니라.”(마태복음 18:22) 김근태는 자신의 육신을 끔찍하게 고문하고 영혼을 파괴한 이근안이 고문사건의 “진상을 고백하고 국민에게 용서를 구한 다음 화해의 악수를 청한다면” 이란 전제로 용서의 뜻을 밝혔다. 30자가 넘은 전제를 2자로 압축하면 ‘용서’가 된다. 언론은 거두절미 ‘용서’의 단어를 주제어로 삼았다.

고문의 피해자들, 폭력정권의 피해자와 그 희생자들은 김근태가 이근안을 ‘고문의 가해자이면서 군사독재의 피해자’ 라는 내용에도 심한 비판을 쏟아냈다. 김근태에게는 삼키기도 뱉기도 어려운 대목이었다.

이제 정치인이 되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두루뭉실하게 얘기하고 넘어가려고 하는 것이냐, 과거 정보기관의 윗선에 있었던 사람들이 대체로 처벌받지 않고 유야무야 지나갔기 때문에 그 하수인들만이 사법적 처벌을 받는 것은 공정하지 않지만, 그렇다고 하여 수많은 사람들에게 반인간적인 고문을 직접 가한 사람을 ‘피해자’ 라고까지 말하며 사람들에게 동정심을 유발케 하는 것은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조롱이고, 역사를 희화화시키는 것이 아닌가…. 게다가 그 이야기를, 잘 알려진 고문사건의 대표적인 경우인 내가 함으로써 다른 고문피해자들이나 가족들의 선택의 폭을 줄여버리지 않았는가 하는 등의 비판을 받았다. (주석 8)

 

 


김근태는 심성이 선하고 부드러운 편이어서 진심으로 이근안을 용서하고자 했다. 그 역시 군사독재의 피해자란 것도 진정성 있는 말이었다. 다만 그가 먼저 용서를 빌고 참회하기를 바랐다. 하지만 이근안과 군사독재자들은 끝내 사죄하지 않았고, 정보기관의 ‘윗선’에 있던 자들도 전혀 반성의 모습을 보이지 않았다.

한국에서는 그동안 고문의 피해자들은 대체로 용서를 하고자 하는데, 도리어 가해자들이 ‘시대상황’에 핑계를 대며 자신들의 악한 행위를 숨기려 들었다. 김대중은 199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수감 중인 전두환ㆍ노태우를 풀어주었다. 선거과정에 대구에서는 박정희기념관 건립을 약속하고 국가예산을 지원하였다. 자신을 죽이려 한 가해자들을 용서한 것이다. 그런데도 전ㆍ노와 그 추종 세력은 사죄하지 않았고, 박정희기념관은 5ㆍ16쿠데타와 유신변란 따위를 미화하는, 박정희 우상화의 장으로 만들었다. 가해자들의 반성이 없는 ‘용서’의 뒤틀린 현상이라 하겠다.

뿐만이 아니다. 가해 세력에 대한 청산이 없으므로 하여 악의 뿌리와 가지가 번창하여 다시 민주주의를 유린하고 선량한 국민을 억압한다. 이명박 정부에서 용산참사와 민간인 사찰은 작은 사례에 불과하다. 그들은 민주체제를 역행하였다.

김근태의 고뇌에 찬 호소를 들어보자.

나는 간곡히 호소하고 싶다. 이분들의 깊은 신음소리에 귀를 기울여주십사하고 말이다. 이른바 남아공연방의 ‘만델라 모델’을 말하는 사람이 많다. 이제는 모두 화합해야 한다고 하면서 그렇게 말한다. 나도 이에 동의한다. 그런데 만델라 모델에는 전제조건이 있다. 반인간적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이 스스로 자백하는 경우에는 기소를 면제해주는 것이다. 스스로 결단을 하고, 진실을 밝히는 노력을 할 때에만 화해와 화합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주석 9)


주석
8> 김근태, <내가 그에게 악수를 청한 까닭>, <희망은 힘이 세다>, 32~33쪽.
9> 앞의 책, 33쪽.

 



01.jpg
0.02MB
02.jpg
0.06MB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