겸제(謙齊)를 생각하며
 

비오고 눈이 오고, 비가 오고 비 가운데로 싸라기 우박이 가끔씩 뿌려지고, 이 3월 하순에 말이오.
겨울 떠나보내고 봄 기다리는 마음에 심술이겠지만 그게 어디 가능한 일이겠소.
착각은 그냥 자유일 뿐이지.
번갈아가며, 다투며 내리는 눈비가 익살스러워 차라리 마음이 들뜨는구려.


창틀 기대어 눈 쏟아지는 하늘 올려다보고, 희끗희끗 가려지는 앞산 건너다 보았지.
저 높은데서 거뭇거뭇하고 벌떼처럼 몰려 짓쳐 내려오는데, 점점 가까워지면 몸놀림 가뿐히 공간 넉넉하게 비워두고 하얗게 내렸다오.
한눈파는 사이 스르르 땅속으로 스며 하나 남기지 않고, 이 겨울 마지막 눈 전혀 쌓이지 않았어. 건너편 산골짜기에도.


지난 겨울 앞산 자주 눈 덮여 있었어.
가물가물한 두 겹 비닐 통해 쳐다봤지.
가끔 창 열고 바라봐도 '흑~' 찬바람 한입에 얼른 닫아 버렸었지.


거리에 캐롤 울릴 때쯤이었을까.
눈덮힌 산 그 아래 뾰족 첨탑 보이고 사슴이 끄는 썰매 탄 산타할아버지 눈에 어른거렸네.
언제부턴가 생활속으로 슬쩍 들어와 버린 카드 속 그림 닮은 그런 산, 그런 건물, 썰매, 그런 아이들 삼삼하였네.
난 그만 실소하구 말았지. 감수성이란 이런 것이구나 하고.


꿈속에서도 그리워하는 로렐라이 언덕, 하이델베르크 대학 앞 어디쯤 있을 황태자 첫사랑의 그 맥주집에 몸살나는 이 시대 교양인들,
브로드웨이와 헐리우드에 몸 자지러지는 저 대중들, 그 중에 하나일까, 나도.


겸제(謙齊) 생각했지, 부끄러워 하면서.
어떤 사회적 변화가 있어 가능했겠지만, 그것은 고뇌 끝의 결단이었어.
그렇더라도 상상 속 중국 산과 강 그리는 기법, 그 흉내 버리고, 펄펄 살아 뛰는 우리네 강산 선택한 건 모험이었어.
서러운 삶의 감정 스며있는 이 산하를.
차라리 반역이었을까, 사대 그늘아래 왕권질서에 대한.
위험하지 않았을까.
겸제는 얼마나 조롱당했을까, 경멸 또한.
눈 있어도 보지 못하고, 귀 있어도 듣지 못하는 이 어두움들 어디에서 오는가.
허위의식 물든 관념에서, 감수성으로부터 올까, 누구였을까, 저주받은 바리새인들은.


중국적 봉건질서의 정치 문화적 표현인 주자학이 조선사회 발전에 기여한 바 크겠지.
헌데 일자 일획이 온통 진리였던 그것을 왜 한글로 번역하지 않았는지.
수많은 사람들 공맹의 길에 보다 쉽게 접할 수 있었을 텐데.


우리 글 쓰임대 한층 풍부해졌을 게고.
이젠 복종의 다른 표현된 충효 빈 껍데기만 남겨놓고서 가버린 허망함 아니었을지도.


너무나 심오하여 감히 번역할 능력 아무도 없고, 언문으론 진서 그걸 제대로 표현할 길 도무지 없고,
누군가 개거품 물고 주장한 사람 있었을 게야.
많았을지도 모르고.
당시 시대적 제약 있어 모두 학문할 수는 없는 거고, 어차피 한정될 수밖에 없다는 말 부분적으로 맞는 말이지.


그러나 진정한 이유는 딴데 있는 거지.
혈통에 의한 봉건적 신분질서 유지 너무 적나라하여 문화적 구획으로 덮어 씌워놀 필요 정말 있었겠지.
깊은 진리 터득한 사람 있었을 게고, 많지 않지만.
일부만 알거나 형식적으로 아는 체하여 양반 지배계층에서 탈락되지 않을 수만 있다면 별 상관없었을 것이지.
아는거야, 이런 것은.

 

오늘은 어떤가.
혹시 진서 대신 원서가, 한문 대신 영어가, 중국 대신 서양이 또 그 역할을 해내고 있는 것 아닐까.
꼬부랑 관념과 감수성, 글씨 몇 개 아는 지식인들 지배계층에 끼여들고 그렇게 제도화 되어 있고,
그 아랫사람들 열심히 흉내내고, 흉내바람은 사회적 강제가 되고, 분명하지 않은가 말이여.


여기에 끼지 못하는 것 처벌이고 소외인 거야.
세련됨, 모던함을 소유하고 즐기는 것, 그러기 위한 훈련, 학습, 교양 가지려고, 한마디로 간판 따려고 우리 모두 서둘러 왔던 것 같지.
서양의 문화, 문물, 예술 모두 암암리에 보편적인 것 되고, 특히 진정한 그 내용이나 진리가 아니라 단편적 사실,
어떤 형식이나 약간의 흉내가 오히려 기승부려 진짜 인류의 보편적 발전방향은 목졸라 버리는 것 같고,
그것으로써 우리자신의 주체성과 주인의식은 잊어버려 민족 허무주의에 빠지게 만들고,
인간성 구현을 위한 발전방향과 진리는 서양의 특수한 것이라고 매도해 버리고, 역사는 반복할 것인가, 수치스럽게도.


소중화(小中華)로 자부하며 더욱 중국적이었던 조선,
또다시 개명한 20세기 후반에 우리는 자신을 서양보다 더욱 서양적으로 만들어 버릴 것인가.
진리냄새 피우는 한 글자 한 글자 붙들고 부들부들 떠는 위대한 지도자들이 등장한 이 시대에.


재판에 임하면서 참 묘한 느낌이 들었다오.
그 중에 하나가 판검사, 변호사들과 만났을 때 나도 지식인의 한 사람으로서 서로 동류임을 인정하는 분위기가 있었지.
말씨나 절차 그것에서도 상호 느낄 수 있었고 말이오.
물론 서 있는 입장이 다르면서도.
우린 한국사회의 지배계층임을, 아니 적어도 상류계층임을 암암리에 인정하고 있는 것 같았소.


그러다가 구치소로 돌아와, 특히 자신의 감방에 들어가 갇혀질 때면 최하 천민계층으로 급락하는 것이었소.
부자유, 그건 능멸받아 마땅한 것이오.
옛날 노예가 살아있는 도구라고 짓밟혔던 그림자 아직도 여기에 살아있는거요.


여하튼 이런 차이를 반복하여 느끼면서 나는 사실 꽤 당황했다오.
정서적으로 묘한 혼란도 오고, 특별한 대우를 받고 싶어 하는 얄팍한 마음도 생기고 말이오.
자꾸 설명하고 싶어지고, 이것 모두 쓰잘 데 없는 것임을 잘 알면서도 말이요

<후략>


(1986년 3월 20일. 서울구치소에서 부인 인재근씨에게 보낸 편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