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꿇고 살기보다 서서 죽기 원한다."


나는 1985년 지옥의 남영동을 나선 다음

이렇게 말하고 있었습니다.


“구치감으로 향하는 자동차 속에서 따스한 오후의 햇빛을 온몸에 받았다.

아, 이 햇빛 속으로, 이 낮익은 거리로 나는 돌아온 것이다.

죽음으로부터 회생하기 시작한 것이다.”


어느날 헤아려 보니 스물대여섯 번 체포당했고,

십수년 동안 수배받아 피신해야 했으며,

5년 6개월 동안 형을 살았습니다.


죽음보다 더한 치욕을 맛보아야 했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비참한 일인지를 절감하기도 했습니다.


지금에 와서 그때 그 길을 돌이켜 보면

적어도 이 두 가지는 얻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하나는 부끄럽지 않게 살았다는 것이고,

또 조금이나마 역사의 방향을 긍정적인 쪽으로 돌렸다는 것입니다.


1985년에 고문 사실을 폭로하였고,

그것이 빌미가 되어 재야와 야당이 연대하여 고문 등 용공 조작 대책위를 만들고,

그것이 부천서 성고문 사건의 대책위로,

다시 박종철 치사 사건의 대책위로 이어져서,

궁극적으로 뒤에 1987년의 6.10민주대항쟁을 이끈 “국민운동본부”결성에

조금이나마 기여했다는 자부심을 갖고 있습니다.


사실 그것으로 나는 족합니다.

나는 민주화 운동을 한 것을 결코 잊지 않을 것입니다.


요즘에 와서 민주화 운동의 성과를 폄하하는 이들이

더러 있다고는 하지만 말입니다.


그때 우리는 서로서로 어깨를 결고

심장을 나누어 가지며 나아갔습니다.

그리고 나는 충분한 보상을 받았습니다.


나라 안팎에서 과분한 평가를 받았고,

덕분에 국회의원에 당선되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나의 오랜 친구 조영래, 후배 김병곤, 이범영,

지금 몹시 아픈 이을호를 비롯해서 이름 없이 역사의 책무에 충실했던,

소리없이 그들을 도왔던 이들에게 항상 미안한 심정을 갖고 있습니다.


역사의 보상은 그 분들의 것입니다.


출처 : 1998년 김근태 의원 후원회 소식지 <푸른내일>호외 에서 발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