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항인 함석헌 평전/[2장] 독재와 싸운 저항사상의 본질
2012/12/01 08:00 김삼웅
3.1 명동선언사건으로도 불리는 이 선언문은 ① 이 나라는 민주주의 기반위에 서야 한다. ② 경제입국의 구상과 자세가 근본적으로 재검토되어야 한다. ③ 민족통일은 오늘 이 겨레가 짊어진 최대과업이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다.
박정권은 이 일을 정부전복선동사건으로 몰아가면서 재야 지도급 인사들을 속속 구속했다. 구속자가 함석헌을 비롯, 김대중ㆍ윤보선ㆍ윤반웅ㆍ문익환ㆍ함세웅ㆍ신현봉ㆍ김승훈ㆍ이문영ㆍ서남동 등 18명에 이르렀다. 이 사건으로 함석헌은 징역 5년, 자격정지 5년을 선고받았다.
3.1 민주구국선언사건에 이어 1979년 3월 1일에는 범민주진영의 연대투쟁기구로서 ‘민주주의와 민족통일을 위한 국민연합’(국민연합)이 결성되었다. 함석헌ㆍ김대중ㆍ윤보선 등 재야 지도급 인사들은 ‘3.1 운동 60주년에 즈음한 민주구국선언’을 발표하고, “이 땅에 민주주의를 평화적으로 재건, 확립하고 나아가 민족통일의 역사적 대업을 민주적으로 이룩하기 위한 자발적이며 초당적인 전체국민의 조직”으로서 ‘국민연합’을 결성했다. 함석헌은 김대중, 윤보선과 함께 공동의장에 선출되었다.
‘국민연합’의 산하에는 한국인권운동협의회, 천주교정의구현 사제단, 해직교수협의회, 자유실천문인협의회, NCC 인권위원회, 민주청년협의회 등 13개 단체가 가입할만큼 반유신 저항운동의 모태 역할을 했다.
함석헌의 반유신 저항운동은 지칠줄을 몰랐다.
1979년 10.26 사태로 박정희가 암살되었지만 유신권력을 둘러싸고 권력내부에서는 치열한 음모와 권력 쟁탈전이 전개되었다. 12.12 사태도 그 중의 하나이다. 이른바 ‘안개정국’이란 표현이 언론에 공공연하게 쓰일 만큼 정국은 한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태가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그 해 11월 24일 함석헌을 비롯한 재야인사들은 결혼식을 가장하여 서울명동 YWCA 강당에 모여 ‘통일주체국민회의에 의한 잠정 대통령 선출 저지 국민대회’를 개최하고 유신철폐와 계엄령 해제를 요구하며 가두시위를 벌였다.
이날 ‘국민연합’, 해직교수협의회, 민주청년협의회 회원 5백여 명은 △ 유신정권 퇴진 및 건국민주내각 조직 △ 공화당, 유신정우회, 통일주체국민회의 해산을 요구했다. 또한 △ 유신 대통령을 다시 선출하는 것은 국민에 대한 반역이며 △ 우리나라의 민주화에 대한 외부세력 개입을 일체 거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고 가두시위를 벌였다.
10.26사태로 계엄령이 선포된 이래 최초의 가두시위였다.
검찰은 함석헌을 비롯 박종태ㆍ 양순직ㆍ김병걸 등 96명을 계엄포고령 위반으로 구속했다.
'▷ 참스승 함석헌 > 함석헌 평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8회] 함석헌사상의 본령은 야인정신 (0) | 2014.06.13 |
---|---|
[7회] 저항으로 일관한 생애 (0) | 2014.06.12 |
[5회] 그는 본디 행동인이었다 (0) | 2014.06.10 |
[4회] ‘상놈’으로 태어난 상민의 저항정신 (0) | 2014.06.06 |
[3회] 비폭력 저항주의의 실천 (0) | 2014.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