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의 역사화가. 바실리 베레시차킨 (Vasily Vasilyevich Vereshchagin)

바실리 베레시차킨 (Vasily Vasilyevich Vereshchagin, 1842.10.26~1904.4.13)은 

러시아 제국의 가장 유명한 전쟁 화가로 해외에 널리 알려진 최초의 러시아 화가이다. 
러시아 제국의 중앙아시아 정복과 러시아-투르크 전쟁에 종군하여 전장을 테마로 한 작품을 많이 남겼다. 
러일 전쟁에서 취재를 위해 타고 있던 러시아 전함 페트로파블롭스크가 침몰하면서 사망했다. 
그의 사실주의 화풍으로 인해 많은 작품들이 출판되거나 인쇄나 전시가 금지되었다

바실리 베레시차킨은 러시아 제국 노브고로드주 체레포베츠에서 부농의 아들로 태어났다. 
8세 때 부모의 희망에 따라 군에서 운영하는 유년학교에 들어갔다. 
1853년 상트페테르부르크 해군 사관학교에 입학했다. 
1858년에 프리깃함 ‘캄차카’를 타고 서유럽과 이집트를 방문했다. 
1859년에 장교가 되지만, 군을 제대하고 이듬해부터 페테르부르크 미술 학교에서 배운다. 
우수한 성적이었지만 지루한 수업 방식에 적응을 하지 못하고, 3학년 때 퇴학을 한다. 
트빌리시에서 장기간 체류한 뒤, 프랑스로 건너 가 피레네 산맥 등을 찾아 파리에서 1년을 보냈다. 
파리에서 에콜 데 보자르에서 배웠고, 장레옹 제롬에게 사사한다. 
화가로서 그는 프랑스 파에 속하는 정밀한 묘사, 날카로운 조형, 
그리고 부드럽고 밝은 다채로운 색상 조합을 특징으로 했다.

1867년, 콘스탄틴 폰 카우프만 장군과 함께 

투르키스탄 원정에 종군하여 사마르칸트 공격 등을 목격한다. 
1868년 카우프만 장군의 후원으로 투르키스탄을 주제로 개인전을 개최했다. 
1870년 뮌헨에 머물면서 종군을 하는 동안 그려 모은 스케치와 연구를 

그림으로 완성시키는 작업을 했다. 


당시까지만 해도 그의 관심사는 전투 장면보다는 

오히려 중앙아시아의 이국적인 건축과 풍속이었다. 
1874년에는 인도를 오랫동안 여행을 하고 

영국에 식민지 지배를 받는 인도의 실태를 보고 듣는다. 


1877년 러시아-투르크 전쟁에 종군하여, 사령관의 조치로 부관의 지위와 
군 내에서 자유롭게 행동할 권리를 부여받고 시푸카 고개 전투를 목격한다. 
플레벤 공략전에서는 군인으로 복무한 그의 형제가 죽고, 자신도 중상을 당한다. 
이 비참한 전투는 그의 세계관을 바꾼 계기가 되었다.

이후 그는 평화주의자로서, 전쟁의 비참함을 

현지에서 스케치를 바탕으로 한 사실적인 그림으로 표현했다. 
따라서 전쟁을 그린 그의 그림에는 사망자, 부상자, 약탈, 

야전병원, 눈에 덮힌 병사의 시신이 자주 등장한다. 
이러한 테마는 평소 그림이나 미술에 관심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그의 민주주의 사상은 이동파에 가까운 것이었다. 
지금까지의 영웅 예찬이었던 전쟁 회화에 철학적 의미를 부여하게 된 것이었다. 


연속작이 많아 투르키스탄 원정 (1871년 ~ 1874년), 

러시아-튀르크 전쟁 (1877년 ~ 1878년, 1880년 이후), 러시아 원정을 테마로 그린 것이 있는데, 

특히 후자에서는 보로디노 전투를 그린 대표작 ‘보로디노의 나폴레옹’이 탄생했다. 
그의 그림은 그 주제로 인해 선전 선동(프로파간다)의 도구로 이용될 수도 있었다. 


다른 대표작 ‘전쟁의 결말’은 두개골의 산을 그린 것이지만 1980년에 출판된 아르메니아인

학살에 대해 쓰여진 책 표지에 ‘1916년 서부 아르메니아에서 터키에 의한 잔학 행위’라는 

캡션을 달아 게재된 후에 베레샤긴의 작품으로 판명되었다.

1881년부터 이듬해에 걸쳐 비엔나와 베를린 등 긴 여행을 떠난다. 
온천에 체류 중인 바트엠스는 성 알렉 교회의 제단에서 그리스도의 부활을 그렸다. 
1884년에는 두 번째 인도 여행을 떠나,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에도 발길을 뻗었다.

팔레스타인 성지를 방문한 그는 그리스도의 생애를 그린 일련의 작품으로, 지금까지의 

서구의 유럽화된 그리스도 상이 아니라 현지에서 실제로 보고, 들은 풍속과 풍경을 그려 넣은 
자연주의적 기법을 이용하여 그리스도를 중동의 인간상으로 묘사하여 물의를 일으켰다. 
(단 정교회의 아이콘은 서구의 회화와는 달리 원래 중동의 인간으로서 그리스도를 그리고 있다).

그의 발길은 고향 러시아, 동유럽은 물론, 심지어 미국까지 가게 된다. 
미국에서 미국-스페인 전쟁의 전장이 되었던 쿠바, 필리핀을 방문한다. 
또한 1903년에 일본을 방문하여, 일본의 문화와 역사에 친숙 인물상 등을 남겼다.

1904년에 러시아와 일본 사이에서 러일 전쟁이 발발하자, 그는 러시아 조차지 뤼순으로 갔다. 
여기에서도 종군한 그는 여순 함대사령관 스테판 마카로프에 초대를 받아 
기함인 〈페트로파블롭스크〉에 탑승하여, 전쟁의 풍경을 그렸다. 
그러나 4월 13일 페트로파블롭스크가 일본군이 부설한 기뢰에 닿아 폭발하였고, 
불과 몇 분 만에 화약고가 폭발했기 때문에 

마카로프 제독과 베레시차킨을 비롯한 승무원 대부분이 전사했다. 


베레시차킨의 마지막 작품이 되었던 마카로프의 회의의 모습을 그린 스케치가

파도에 떠다니다 무사히 회수되었다.
그의 죽음은 적국 일본에서도 보도되어 

사회주의자였던 고토쿠 슈스이와 나카자토 카이자 등이 추모의 글을 남겼다.

 

바실리 베레시차킨 (Vasily Vasilyevich Vereshchagin)

이동전파에 속하는 화가로 상트페테르부르크의 미술학교를 나온 후 

1863년 파리로 나가 J.L.제롬에게 사사하였다. 
주로 파리 · 뮌헨 등지에서 살았으며 유럽 각지와 아시아를 여행한, 

당시로는 저명한 러시아의 예술가였다. 
투르케스탄 전쟁(1867∼1868) 및 러 · 터 전쟁(1877∼1878) 때에는 보도화가로 종군하여 
톨스토이풍의 평화주의와 날카로운 관찰력으로 전쟁을 묘사하였다.

캅카스 · 인도 · 팔레스티나 여행에서의 풍경화와 풍속화에서도 같은 작풍을 찾아볼 수 있으며, 
1890년대에는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입의 연작(聯作)을 제작하였다. 
그림으로 사람들에게 비전론(非戰論)을 강력히 호소하였으며, 

러일전쟁 때 여순항(旅順港) 밖에서 전사하였다. 
대표작에 '전쟁의 화신(Apotheosis of War)' 등이 있다. 

전쟁 장면을 그린 그림으로 유명하다. 

상트페테르부르크 아카데미에 다닌 후 파리에서 공부했다. 
평생을 여행하는 데 바친 그는 러시아 군대와 함께 카프카스와 크림 반도, 도나우 강 연안 및 
투르키스탄을 돌아다니며 현장에서 받은 인상을 그림으로 표현했다.

그는 러시아-투르크 전쟁에서 부상당하고 이때 발칸 반도에서 본 것을 그린 전쟁화들이 가장 유명하다. 
또한 시리아와 팔레스타인에서 그림을 그렸고 1885~1903에는 러시아 · 미국 · 일본 등지를 여행했다. 
그는 러일전쟁 때 중국 뤼순 앞바다에 떠 있던 S. O. 마카로프 제독의 기함에서 죽었다.

1812년 나폴레옹이 러시아를 침공했을 때의 장면을 그린 그림들은 

대단한 인기를 누려, 수없이 복제되었다. 
당시의 평화주의자와 인도주의자들은 해골 더미가 피라미드를 이루고 있는 그의 그림 
〈전쟁의 화신 Apotheosis of War〉 (1871, 모스크바 트레탸코프 국립미술관)을 그들의 운동에 이용했다.
그의 작품들은 모스크바의 트레탸코프 국립미술관과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국립 러시아 미술관에 전시되어 있다.

 

The Apotheosis of War, 전쟁 예찬. 1871. Oil on canvas, 127 X 197cm.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베레시차킨의 투르키스탄 전쟁 연작의 시리즈의 마지막 그림이자

그의 반전 작품 중 가장 유명한 작품이다. 
베레시차킨은 이 그림의 주석에서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정복자에게 바친다"라고

명시하여 전쟁의 비극와 무의미를 강조하였다.
 
소름 끼치는 장면이다. 쌓아 놓은 해골들이 작은 산을 이루었다.  
까마귀들은 하늘에서, 해골 위에서 햇빛 아래 탈색되고 부서져가는 해골들을 바라보고 있다.  
멀리 보이는 마을에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죽었을까?  
그리고 몸은 다 어디에 가고 머리만 모여 있는 것일까? 

전쟁이 끝나고 미처 치우지 못한 주검들은 푸른 하늘 밑에서 풍화되어 가고 있다.  
너무 맑은 날이어서, 너무 밝은 때여서 더 처참하다. 
전쟁은 살아 있는 영(靈)을 파멸시키기도 하지만 죽은 혼(魂)도 비참하게 만드는 모양이다.

베레시차킨은 러시아의 체레포베츠라는 곳에서 태어났다. 
땅을 소유하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집안은 부유했고 지주나 귀족의 아이들이 
장교가 되거나 외교관이 되던 당시의 풍습대로 그의 부모도 그가 여덟 살이 되던 해, 
알렉산더 예비 사관학교에 그를 입학시킨다.
이 학교를 졸업하면 정식 사관학교에 입학하게 되는데 예비학교를 졸업하고 
베레시차킨은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전쟁이라는 행위는 모든 국가의 역사에서 하나의 획을 긋는 중요한 일이지만, 
러시아에서는 특히 수없이 반복된 침탈과 전쟁의 역사로 

전쟁이 국민모두에게 심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시대는 표트르 대제를 지나고 지나, 19세기 근대의 문턱까지 달려온 상태였다. 
그 사이 러시아의 국력과 병력수준은 획기적으로 높아졌지만, 

그 못지 않게 숱한 전쟁을 치러야했다.

그 전쟁은 때때론 '영웅적인 조국방어 전쟁'이었으며,  

때때론 '영웅적인 조국확장 전쟁'이었다. 
그러나 모든 전쟁에서 격렬한 피가 흘렀다는 것은  어느 전쟁 할 것 없이  공통적 분모였고, 
여기서 가장 많은 피를 흘린것은 징집된 병사들이었다. 

러일전쟁을 지휘한 쿠로파트킨 장군의 회고록에서 나오듯이, (이 회고록은 국내에도 번역, 발간되어 있다.) 
18~19세기 러시아 군대의 숫자는 약 100만에서 150만을 헤아렸으며 
이들 상당수는 서유럽, 그리고 중앙의 코카서스 산맥 일대, 남측 터키국경 등과 같이 
대규모의 전투가 벌어지는 곳에 투입되었다.

이러한 대규모 군대의 운용과 전쟁은 국가적인 부채 증가, 남성 인력의 징집으로 인한 
농업생산력 저하, 농촌피폐, 농촌의 식량생산 저하로 인한 식량부족의 만연, 기아발생 등등...... 
심각한 사회적 문제를 야기하는 지경에 이르렀다.

농민이 일을 아무리한다해도 대부분을 세금으로 빼앗기고, 

징집되어 군대로 간 아들들은 시체로 돌아오고......
이것이 당시 러시아 인구 대부분을 차지했던 농민을 고통의 수렁 속에 빠뜨린 원인이었다.

이러한 침략전쟁과, 비효율적인 전쟁 운용방식에 대해 비난을 제기한 화가가 
바로 바실리 베레시차킨이었다. 
베레시차킨의 작품을 보자면, 거의 모든 작품이 전쟁 및 국경지대와 관련된 그림이다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그의 작품세계에서 전쟁과 전쟁으로 인한 피해는 중요한 주제였다.

베레시차킨은 지주의 아들로 태어났으나(1842년), 군사적 문화를 많이 접할수 있었던 어릴적

환경에 의해 이미 10대에 러시아 해군학교를 다녔고, 투르키스탄 전쟁, 발칸전쟁, 
러시아-터키 전쟁(투르크 전쟁)에 참전하여 몇 번의 가벼운 부상, 한번의 심각한 부상을 입었으며, 
이 과정에서 그의 작품세계는 반전(反戰)의 주제가 완전히 자리잡게 된다.

베레시차킨의 1871년 작품 제목은 <전쟁 예찬>.

베레시차긴의 투르키스탄 전쟁 연작 시리즈의 마지막 그림이자, 

그의 반전 그림가운데 가장 유명한 그림이다. 
이 그림의 주석에서, 베레시차긴은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의 정복자에게 바친다"라고

명시하여 전쟁의 비극과 무의미함을 강조하였다.

이 <전쟁예찬>이라는 그림은 여러가지를 생각하게 만든다. 
쌓여 있는 해골에는 일자(一)로 가로로 긴 도끼자국으로 보이는 상흔이 남아 있다. 
이미 전투 중에 도끼로 살해당한 시신을 왜 또다시 목을 잘라 그 목을 전시하듯 높게 쌓았는가.... 
일찍이 인간이 해 왔던 전쟁 속 '승리의 자랑'으로 으레 행해진 적군의 목베기와

대상자가 살았든 죽었든 그것을 자랑하게끔 만드는 

인간과 전쟁의 잔인성에 대해 생각해 보게끔 된다.

이 셀 수 없이 높게 쌓인 해골의 수, 그것을 파먹었을 법한 통통하게 살이 오른 까마귀들,  
전쟁으로 파괴되었을 집(우측 후편)과 이 와중에도 끊임없이 푸르고 푸른 하늘....
이러한 장치들이 기묘하게 얽혀들어가면서 이 그림은 "전쟁을 하지 말자"는 몇백 장의 포스터와 
몇만 글자의 연설보다 전쟁을 하면 안되겠구나...라는 감성에 젖게 만든다. 
이처럼 베레시차킨은 전쟁에 대해 극구 반대하는 의사를 표현하였으며, 실제로도 어러한 말을 남겼다. 
"나는 화가로써 전력을 다해 전쟁을 비난한다. 나의 비난이 효과적인지 어떤지는 알지 못한다. 
그러나 나는 정면으로 맞서 가차없이 비난한다."

때문에 베레시차킨은 위의 <전쟁예찬> 말고도 전쟁의 비극을 보여주는

<시프카에서 모두 평온하다>, <치명상>, <전리품을 보이다> 등의 그림을 다수 남겼다. 
한편으로는, 전쟁화의 주인공을 항상 말단에 있는 병사로 내세움으로써 

민중화가로서의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적국의 침략에 맞서 단호히 싸우는 러시아 병사와 민중, 
곤혹스러워하는 적군에 대해서도 그림으로 표현하여

합당한 전쟁 수행에 대해서는 찬사를 보내기도 했다. 
그가 그린 나폴레옹 전쟁 당시를 묘사한 그림은 지금까지 남아 있는 나폴레옹 전쟁 관련한

그림 중에 가장 극적이라고 평가받으며, 엄청나게 많은 화가들이 그의 그림을 모사하게된다.

자국의 침략 전쟁에 대해 비난하고, 적국의 침략에 대한 방어 전쟁에 대해 찬사를 높힌 이 화가는, 
러일전쟁 당시 러시아 해군사령관 마카로프 제독이 타고 있던 러시아 해군 기함 
'페트로 파블로프스크' 호가 침몰할 때 배와 같이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전쟁을 하기는 쉬워도, 전쟁을 알기는 어렵다는 말을 누가 했던가....

 

At  the City Wall, 'Let them enter'. 도시 성벽에서 ‘안으로 진격’. 1871. OIl on canvas, 95 X 160.5cm,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도시를 둘러 싸고 있는 성벽의 한 구석이 허물어졌다. 
밖에서 기다리고 있던 병사들이 그 틈으로 진격을 시작했다. 
맨 앞 줄의 병사들은 혹시 있을지 모를 적의 공격에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성급하게 덤비는 병사를 손으로 막는 병사는 분위기로 봐서 산전수전 다 겪은 베테랑처럼 보이다.

벽 너머에 어떤 위험이 있는지 짐작을 하고 있겠지만 
그 위험이 자신의 목숨을 앗아 갈 수 있다는 것은 애써 피하고 싶겠다. 
뒤쪽에 줄을 지어 계속 행진하고 있는 병사들을 보며 

전쟁터에서의 인간의 목숨은 어떤 가치가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해군사관학교에 입학한 베레시차킨은 학교 재학 시 가장 뛰어난 학생이었고 
때문에 앞으로 잘 나가는 장교가 될 것이라고 누구나 생각했다. 
그러나 사람의 운명은 순간에 길을 바꾸기도 한다.  
군사 미술에 관심을 보였던 그는 사관학교를 다니면서 
상트 페테르부르크 미술 아카데미 야간반에서 그림을 배운다.

열 여덟 살 되던 해 베레시차킨은 우등으로 사관학교를 졸업하자마자 
상트 페테르부르크 미술 아카데미 종일반에 입학한다. 
장교가 되는 길을 걷어 차고 화가가 되기로 한 것이다. 

 

Beating the fiances of Penelope returning Ulysses, 1861~1862, sketch and study

 

Ananuri, 1863. sketch and study

 

Lezgin Haji Murtuz-agha from Dagestan, 1864.

 

Presentation of the bosses (Russian officer and Caucasians), 1863~1864, genre painting

 

Warrant Officer Hassan-Beck Dzhagranov, ​1863~1864

 

Old molokan in a light shirt, 1865

 

Burlak who hold hands on the strap, 1866,

 

Burlak with the cap in his hand, 1866.

 

Burlaks, 1866.

 

Elbrus, 1867.

 

Inn near Tashkent, 1867. 

 

Lezginka(1867)higher resolution. 1864 ~1867.

 

Kazakh with his national headdress, 1867. 

 

Kazakh with fur hat. 1867. Kiev National Museum of Russian Art, Kiev, Ukraine

 

The Gipsy Lully, 1867-1868. 

 

Portrait Of The Bacha, 1867-68. 

 

Portrait of a man in a white turban, 1867. 

 

Kazakh woman, 1867.

 

Afghan, 1867~1868. 

 

Boy-Uzbek, 1867~1868. 

 

Uzbek, the foreman (elder) village Hodzhagent, 1868. 

 

The Bacha and His Admirers, 1868. 

 

Eaters of opium, 1868. 

 

After Good Luck, 1868. oil on canvas. 47 x 39 cm, 
The State Russian Museum, St. Petersburg, Russia

 

Turkmens representing war trophies to Khiva khan, 1868. 

 

After Failure, 1868. 

 

Ruins in Chuguchak, 1869. oil on canvas. Russian Museum, St. Petersburg, Russia

 

A Garden gate in Chuguchak, 1869~1870. 

 

Afghan, 1869~1870. 

 

Arab on camel, 1869~1870. 

 

Mausoleum of Shah-i-Zinda in Samarkand, 1869~1870. 

 

Gur-Emir Mausoleum In Samarkand, 1869-70. 

 

Ruins of a Theater in Chuguchak, 1869~1870. 

 

The ruins of the Chinese shrine. Ak-Kent, 1869~1870. 

 

Main Street in Samarkand, from the height of the citadel in the early morning, 1869~1870

 

Chorus of Dervishes, begging, Tashkent. 1870. oil on canvas.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Beggars In Samarkand, 1870. 

 

Camel in the courtyard of caravanserai, 1869~1870. 

 

China tent, 1869~1870. 

 

Migrations Kirghiz, 1869~1870. 

 

Dutar-player, 1869~1870. 

 

In the Alatau mountains, 1869~1870. 

 

Nomadic road in the mountains of Ala Tau, 1869~1870. 

 

Samarkand, 1869~1870. 

 

Shir Dor madrasah in Registan Square in Samarkand, 1869~1870. 

 

Kalmyk chapel, 1869~1870

 

Kalmyk-lama, 1869~1870. 

 

Kyrgyz, 1869~1870. 

 

Kyrgyz tent on the Chu River, 1869~1870

 

Kyrgyz-bride outfit with a headdress covering the face, 1869~1870. 

 

Solon boy, 1869~1870.

 

The children of the tribe Solonov, 1869~1870. 

 

The interior of the yurt of rich Kirghiz, 1869~1870. 

 

Chinese house, 1870. 

 

Strengthening Naryn in Tien Shan (Celestial Mountains) near Kashgar border, 1870,  

Primorskaya State Gallery

 

Kokand soldier, 1870. 

 

Chinese official of tribe Sibo, 1870. 

 

Lake Issyk Kul in the evening, 1870.

 

Chorus of Dervishes, begging. Tashkent, 1870. 

 

Eunuch at the door of the harem, 1870. 

 

Politicians in opium shop. Tashkent. 1870. 

 

Tamerlan's gate, 1869~1871.

 

The Rich Kirghiz Hunter With A Falcon, 1871. 

 

Present trophies​, 1872. 

 

The Doors Of Timur, 1872, oil on canvas,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Sale Of The Child-Slave, 1872, oil on canvas, Russian Museum, St. Petersburg, Russia.

 

Triumph, 1872. 

 

Temple in Tokyo, 1871~1873. 

 

About the war, 1873, oil on canvas. 58.5 x 74 cm,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Bukhara soldiers (Sarbaz), 1873. 

 

Chinese, 1873. 

 

Indian, 1873.

 

Kalmyk-lama, 1873. 

 

 ​Looking out, 1873. 

 

Mullah Rahim and Mullah Karim quarrel on his way to the marketm. 1873.

 

Mortally Wounded, 치명상. 1873 oil on  canvas.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요새 공격 중 치명상을 입고 후퇴하는 러시아병사. 

그의 주변에 이미 많은 병사가 쓰러져 있다.

 

At The Door Of A Mosque, 1873. oil on canvas. Russian Museum, St. Petersburg, Russia. 

 

Turkestan officer, when there will no campaign. 1873. 

 

Turkestan soldiers in the winter form, 1873. 

 

Uzbek dishes seller, 1873. 

 

Uzbek Woman in Tashkent, 1873. oil on  canvas. Tretyakov Gallery, Moscow, Russia.

 

Mendicant dervishes-douvana (holy fools), 1873. 

 

Douvana (Begging dervishes), 1873. 

 

Samarkand zindan (Underground prison), 1873. 

 

Bhil, 1874. 

 

Buddhist temple in Darjeeling. Sikkim, 1874. 

 

Evening on the lake. One of the pavilions on the marble promenade in Radzhnagar 

(Principality of Udaipur), 1874.

 

Radzhnagar. Marble, adorned with bas-reliefs quay on the lake in Udaipur, 1874.

 

Buddhist lama in a monastery on a holiday Pemionchi. Sikkim, 1875.

 

Buddhist Prayer Machine, 1875. 

 

Coolie (porter), 1875. 

 

​Gate near the Qutub Minar Old Delhi, 1875.

 

Glacier On A Road From Kashmir In Ladakh, 1875.

 

Hemis Monastery in Ladakh, 1875.

 

Himalayan ponies, 1875.

 

Himalayas in the evening, 1875.

 

Himalayas. The main peak, 1875.

 

Indian motif, 1875. 

 

Monastery in a Rock. Ladakh, 1875, oil on panel. The Museum of Russian Art, Kiev, Ukraine.

 

Mountain stream in Kashmir, 1875. 

 

[영상] Vasily Vasilyevich (1842-1904) Realism Russian

 

 

 

 

+ Recent posts